![]() |
2일(현지시간) 미국IT전문매체 와이어드는 중국이 WAIC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협력’과 ‘포용’을 내세웠지만, 내부적으로는 미국이 빠진 상태에서 새로운 국제 질서를 모색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은 이번 행사에서 미국 인사 참여 없이 다자협력 중심의 AI 국제 규범 수립을 강조하며, 향후 글로벌 AI 규제의 장기적 주도권 확보를 노리는 행보를 보인 바 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AI 거버넌스 행동 계획은 ‘국제적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공정한 개발을 추구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밝힌 '전 세계적인 기술 지배력 확보'라는 방향성과는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
또 다른 외신은 '중국은 인류 공동의 미래를 내세우며, 유엔 글로벌 디지털 협약(UN Global Digital Compact)에 발맞춘 포용적 디지털 질서를 강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트럼프 정부는 미국 주도의 기술 패권 강화를 명시적으로 천명하며, 자국의 AI 개발이 '절대적 우위'에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며 대비를 이룬다는 점을 거론했다.
상하이 WAIC 현장에서는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 연구기관들과 국영 AI 기업들이 자국 모델을 기반으로 한 협력안을 다수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의 GPT 시리즈나 메타의 LLaMA 대신, 알리바바와 딥시크(DeepSeek) 등 중국 자생 모델을 중심으로 한 오픈소스 생태계를 강조하며 “국제적 공유”를 강조하는 메시지가 반복됐다.
와이어드는 행사에 참석한 한 유럽계 AI 전문가를 인용해 미국은 규제 중심, 중국은 생태계 확장 중심이라며 개방형 생태계 구축을 통한 제3국 연대 전략에서 중국이 전략적 우위를 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실제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남미 등 기술 주권을 고민 중인 국가들 사이에서 중국의 ‘포용과 협력’ 메시지가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AI 국제질서의 주도권이 오로지 기술력만으로 결정되지는 않는다며 중국이 ‘규범’과 ‘프레임’을 주도하려는 이번 시도가 향후 수년간 AI 규제체계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