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8.0 °
세계일보 언론사 이미지

국힘 전당대회 대진표 확정…‘전한길 논쟁’ 뜨거운 감자로

세계일보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에 도전하는 당권 주자 5명이 확정됐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안철수·장동혁·조경태·주진우 의원(가나다순)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과 인적쇄신, 한국사 강사 출신 전한길씨 입당으로 촉발된 극우 논란 등을 전선으로 당원들의 표심 확보 경쟁에 나설 예정이다.

(왼쪽부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안철수·장동혁·조경태·주진우 의원.    뉴시스· 연합뉴스

(왼쪽부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안철수·장동혁·조경태·주진우 의원. 뉴시스· 연합뉴스


2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 전대 선거관리위원회는 1일 당대표 후보 예비경선 진출자로 이들 5명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선거운동 첫날인 1일 김 전 장관과 조·주 의원은 보수세가 강한 영남으로 향해 당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김 전 장관은 경북 구미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와 새마을운동테마공원을 찾은 데 이어 대구시당에서 당원들을 만나는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조 의원은 권기창 안동시장, 김하수 청도군수와 각각 면담을 진행한 한편, 안동과 문경에서 각각 당원과 청년들을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주 의원은 부산시당에서 당원들을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안 의원은 올해 1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직후 난동 사태가 벌어진 서울서부지법을 찾았고, 장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을 돌며 의원·보좌진들에게 인사하는 것으로 선거운동을 시작했다.

각 후보의 의견이 가장 뚜렷하게 갈리는 현안은 전씨 입당 논란이다. 김 전 장관과 장 의원은 전씨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반면, 안·조·주 의원은 “전씨가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해 온 극우 인사”라며 비판적인 입장이다.


전씨를 가장 적극적으로 포용하는 후보는 장 의원이다. 장 의원은 지난달 31일 전씨 등 보수 성향 유튜버들이 주관하는 토론회에 출연하기도 했다. 장 의원은 해당 토론회에서 “대표가 되면 부정선거 문제에 대한 끝장 토론을 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만들겠다”고 밝히는 한편, 극우 논란에 대해서도 “좌파에서 우리를 공격하기 위해 쓰던 못된 프레임을 갖고 와서 내부 분열을 조장하고 우리를 갈라치기를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장관 역시 전씨 등의 토론회 출연을 검토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지난달 29일 보수매체 펜앤마이크 유튜브에 출연해 “전씨 같은 사람을 너무 배척하고 똑같은 사람이 모여서 당을 하는 게 아니다”며 “여러 사람이 같이 모여 용광로처럼 온갖 세력을 모아 하나로 통합해서 더 순도 높은 새로운 역량을 만들어내는 게 국민의힘 아니냐”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같은달 31일 기자회견에서 김 전 장관은 “‘전한길 대회’를 하는 게 아니고 전당대회를 하면 후보로 나온 사람이 중심이 돼야 한다. 친전한길, 반전한길 프레임 자체가 웃기는 얘기”라며 전씨에 대한 입장이 전대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것에 대해 불편한 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이에 반해 안 의원은 “계엄을 옹호하는 전씨 주장은 우리 당 스펙트럼 내에 들어올 수 없는 주장”(지난달 23일 경기도의회 기자간담회), 조 의원은 “그런 행위(비상계엄 선포)를 한 사람을 옹호하는 사람을 지지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느냐”(1일 대구·경북 중견언론인모임 ‘아시아포럼21’ 초청 토론회), 주 의원은 “(김 전 장관, 장 의원) 두 분이 전씨와 경쟁적으로 교감하는 사이 우리 당 지지율은 반토막 났다”(지난달 29일 페이스북)고 각각 밝혔다.

인적쇄신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 역시 확연하게 나뉜다. 안 의원과 조 의원 등 이른바 ‘혁신파’들이 구주류인 친윤(친윤석열계)에 대한 인적쇄신을 강조한다.

안 의원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에서 혁신의 5대 과제 중 하나로 인적쇄신을 들며 “단일화 번복으로 당내 극심한 분열과 혼란을 초래하고, 이재명에게 대통령직을 헌납한 김문수 후보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안 의원은 “당무감사로 지목된 두 분과 스스로 조사를 자청한 한 분도 윤리위원회 처분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며 당 당무감사위가 대선후보 교체 시도와 관련해 당원권 정지 3년의 중징계를 요청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선거관리위원장, 권성동 전 원내대표를 겨냥했다.

조 의원은 1일 토론회에서 “위헌적이고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한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려고 한 45명은 책임이 있다”며 “인적쇄신위원회를 구성해 45명뿐만 아니라 플러스알파를 해 탈당을 요구하거나 징계를 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김 전 장관과 장 의원은 인적쇄신에 명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다. 계파색이 옅은 주 의원은 “핵심은 인적 아닌 시스템 쇄신”이라며 인적쇄신에 우선해 당 내부 시스템 쇄신을 강조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는 5∼6일 책임당원 투표와 국민여론조사 결과가 각각 50%씩 반영되는 예비경선을 통해 당대표 후보를 4명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백준무 기자 jm10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김문수 장동혁 당대표
    김문수 장동혁 당대표
  2. 280s 서울가요제 윤도현
    80s 서울가요제 윤도현
  3. 3토트넘 맨시티 완파
    토트넘 맨시티 완파
  4. 4이동경 극장골
    이동경 극장골
  5. 5이재명 한일 협력
    이재명 한일 협력

세계일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