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승수 대표 |
최근 전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은 초거대 AI 모델 경쟁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들은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앞다퉈 신기술을 발표하며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한국도 네이버, 카카오를 중심으로 AI 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지만 글로벌 기술 수준과는 아직 2~3년의 격차가 존재한다는 평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 AI 컨설팅 기업 ‘파노믹스(Panomix)’가 주목받고 있다. 파노믹스는 글로벌 명문 대학인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CMU) 출신 3인이 함께 이끌고 있는 기업으로, 산업 현장 중심의 AI 컨설팅과 맞춤형 솔루션 제공에 차별화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파노믹스 한승수 대표는 월스트리트 트레이더 출신으로, 메타(구 페이스북) 코리아에서 마케팅 사이언스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그는 2017년 파노믹스를 창업하며 기업 맞춤형 AI 전략과 컨설팅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현장 중심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기술적 부분을 이끄는 강전영 머신러닝 엔지니어는 CMU에서 통계 기반 머신러닝을 전공하며, 정밀한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모델링 구현을 주도하고 있다. 유지연 프로덕트 매니저는 CMU에서 의사결정과학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전공한 UX 전문가로, AI 기술이 사용자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솔루션 기획을 맡고 있다. 특히 이들은 중국, 미국, 캐나다 등 글로벌 실무 환경 경험을 갖춰 폭넓은 글로벌 비즈니스 시야를 제공한다는 평가다.
파노믹스의 가장 큰 차별점은 기술 자체가 아닌 현장의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는 점이다. AI 기술을 단순히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업이 당면한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해왔다. 미디어,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며, 문제 발굴부터 전략 수립, 실행, 운영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으로 기업들의 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 덕분에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 사례도 주목된다. 최근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의 공식 데이터 커넥션 파트너사로 선정되어 틱톡 광고 플랫폼 내 픽셀 및 이벤트 API(eAPI) 구현을 공식 지원하고 있으며, 세계 28개 기업 중 하나이자 국내 2개 기업 중 한 곳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생성형 AI 챗봇 빌더 플랫폼 봇프레스(Botpress)의 공식 인증 파트너로 활동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해가고 있다.
파노믹스는 AI를 단순 기술로 보기보다는 사용자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경험(UX)을 강조한다. 빠른 실행과 반복적인 검증 시스템을 통해 급변하는 시장 흐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이 기업의 실제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