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리포터]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챗GPT 사용자들이 대화를 공유할 경우 구글과 빙 등 검색엔진에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 논란이 일었지만, 오픈AI가 해당 논란을 일축시켰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IT매체 테크크런치는 챗GPT 사용자가 대화에서 '공유' 버튼을 눌러 링크 생성 시, 해당 URL이 검색엔진에 노출되면서 누구나 접근이 가능했지만, 오픈AI가 "이 기능은 단기적인 실험이었다"며 상황을 일단락시켰다고 전했다.
해당 기능이 수정되기 전, 일부 사용자는 자신의 이력서 수정 요청이나 특정 질문을 공유하면서 의도치 않게 개인정보를 노출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챗GPT의 해당 기능은 구글 드라이브의 '링크로 공유' 기능과 유사하지만, 검색엔진이 이를 쉽게 인덱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챗GPT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대화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도 오픈AI의 보안 정책이 유지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챗GPT 사용자들이 대화를 공유할 경우 구글과 빙 등 검색엔진에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 논란이 일었지만, 오픈AI가 해당 논란을 일축시켰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IT매체 테크크런치는 챗GPT 사용자가 대화에서 '공유' 버튼을 눌러 링크 생성 시, 해당 URL이 검색엔진에 노출되면서 누구나 접근이 가능했지만, 오픈AI가 "이 기능은 단기적인 실험이었다"며 상황을 일단락시켰다고 전했다.
해당 기능이 수정되기 전, 일부 사용자는 자신의 이력서 수정 요청이나 특정 질문을 공유하면서 의도치 않게 개인정보를 노출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챗GPT의 해당 기능은 구글 드라이브의 '링크로 공유' 기능과 유사하지만, 검색엔진이 이를 쉽게 인덱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챗GPT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대화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도 오픈AI의 보안 정책이 유지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