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6.1 °
뉴스1 언론사 이미지

혁신전대 열자던 국힘…탄핵 찬반 수렁 속 '당권 레이스' 개막

뉴스1 박기현 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당권 5파전…김문수·안철수·장동혁·조경태·주진우 등록

당심 80% 선거에 반탄파 수면 위로…지선 전략 등 실종



국민의힘 당대표 사무실 문패. (공동취재) 2022.7.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국민의힘 당대표 사무실 문패. (공동취재) 2022.7.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현 기자 =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가 1일 막을 올렸지만 혁신 경쟁이라는 당초 기대와 달리 탄핵 찬반 논쟁에 다시 과거에 발이 묶이는 형국이다.

내년 지방선거 전략 등 당의 미래를 둘러싼 논의는 자취를 감췄고, 당권 경쟁이 과거에 갇혔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반탄' 김문수·장동혁 '찬탄' 안철수·조경태 '중도' 주진우

이날 국민의힘에 따르면 김문수·안철수·장동혁·조경태·주진우(가나다순) 후보 5명이 당대표 후보 등록을 마쳤다.

선거는 '반탄(탄핵 반대)파'와 '찬탄(탄핵 찬성)파'의 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입당 논란, 인적 쇄신 범위 등 현안을 중심으로 대립하지만, 깊게 들여다보면 결국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과거의 입장이 지금의 노선과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대 과거 탄핵 반대 시위를 주도한 전 씨 입당을 두고 반탄파인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찬탄파인 안철수·조경태 후보는 '당의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고 선을 긋는 상황이다.


당내 책임자 문책 여부를 두고도 '통합파'와 '쇄신파'가 대립 중이다.

주진우 후보는 양쪽 모두와 선을 긋고 중도 노선을 표방하지만 메시지의 설득력 면에서 뚜렷한 인상을 주지 못하고 있다. 대립 구도가 굳어진 상황에 비집고 들어갈 공간 자체가 협소하다는 분석이다.

당 관계자는 "직전까지 혁신 요구가 빗발치던 당이 전당대회로 순식간에 탄핵 프레임에 갇히는 모습"이라며 "중도층이 보기에 아직 과거에 빠져있다는 인상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당심' 80%에 반탄파 토양…지선 논의 실종

탄핵 논쟁이 전면에 부상한 배경에는 전당대회 자체의 구조적 요인도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본경선에서 당원 투표 80%,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를 합산해 결정하는데, 여론조사에도 역선택 방지 조항이 적용돼 사실상 지지층 여론이 크게 반영된다.

뉴시스가 여론조사업체 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7월 27~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경태 후보가 23.5%로 가장 높았고 김문수 후보 16.8%, 안철수 후보 10.7%, 장동혁 후보 9.1%, 주진우 후보 3.5% 등 순이었다.

그러나 같은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층 대상으로 한정하면 순위가 뒤집혔다. 김 후보가 34.9%로 선두로 올랐고, 장 후보(19.8%)가 2위를 차지했다. 조 후보(11.0%)는 3위로 밀려났고, 주 후보(8.8%)와 안 후보(8.0%)가 뒤를 이었다.


반탄파 우위 구도가 점차 확실시될 경우 당권 레이스는 더욱 과거 회귀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반탄파 간 경쟁은 과열되고 있다. 전날 김문수 후보가 전 씨 극우 논란에 "극좌들이 만들어놓은 프레임"이라고 옹호했고, 장동혁 후보는 "대표가 된다면 윤 전 대통령 면회를 하겠다"고 했다.

최고위원 선거도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구국의 결단 비상계엄령 선포 적극 지지" 글로 도마 위에 올랐던 김소연 변호사, 설화로 제명됐던 류여해 전 최고위원, 당원권 정지 1년의 징계를 받았던 김재원 전 최고위원이 모두 도전장을 냈다.

일각에서는 이번 전당대회가 단순한 리더십 교체에 그치지 않고, 향후 지선 공천 룰 등을 좌우할 중대 분기점이라는 점에서 혁신 의제 실종이 더 뼈아프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가 유일하게 지방선거 승리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인데, 이마저도 '누구 편이냐'는 수준의 논의에 소진되고 있다"고 했다.

기사에 인용된 조사는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식(무선 100%)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2.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masterk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기훈 구속심사 포기
    이기훈 구속심사 포기
  2. 2김상민 구속영장
    김상민 구속영장
  3. 3양궁 안산 강채영
    양궁 안산 강채영
  4. 4해병대 특검 출석
    해병대 특검 출석
  5. 5대통령 접경지역 배려
    대통령 접경지역 배려

뉴스1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