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유로 특검 수사 거부한 尹
구치소 측 "수사 못 받을 정도 아냐"
1일 현장 점검 종합 평가 발표 예정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특검 소환 조사 불응 관련 특혜 의혹을 파헤치겠다며 서울구치소를 찾았다. 건강상의 이유로 특검 수사를 거부 중인 윤 전 대통령의 컨디션을 실제 점검해보겠다는 취지다. 특위는 구치소 관계자의 증언을 토대로 "윤 전 대통령이 건강상의 문제가 없는데도 특검 소환에 불응하고 있다"며 법꾸라지(법 미꾸라지) 행태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특위 발족 자체를 두고 "본인들이 원하는 특검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노골적으로 관여하겠다는 선언"(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이라고 반발했지만, 민주당은 별도의 특검 지원 활동을 멈추지 않을 태세다.
31일 특위의 첫 행선지는 윤 전 대통령이 수용돼 있는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였다. 이들은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등과 면담한 뒤 구치소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윤 전 대통령의 접견 관련 자료 등을 확인했다. 나름의 성과도 있었다. 서울구치소 측은 위원들과 면담에서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상태에 대해 "수사받지 못할 정도로 크게 건강 상태가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병주 의원은 서울구치소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이) 변호인 접견을 통해 수시로 밖으로 나오는데 접견 장소도 일반 변호인 접견과 다른 장소에서 하는 특혜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1일 이날 현장 점검 실태에 대한 종합 평가를 발표할 예정이다.
구치소 측 "수사 못 받을 정도 아냐"
1일 현장 점검 종합 평가 발표 예정
전현희(앞줄 왼쪽 세 번째) '3대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 종합대응 특별위원장이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김현우 서울구치소장과 면담 전 브리핑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특검 소환 조사 불응 관련 특혜 의혹을 파헤치겠다며 서울구치소를 찾았다. 건강상의 이유로 특검 수사를 거부 중인 윤 전 대통령의 컨디션을 실제 점검해보겠다는 취지다. 특위는 구치소 관계자의 증언을 토대로 "윤 전 대통령이 건강상의 문제가 없는데도 특검 소환에 불응하고 있다"며 법꾸라지(법 미꾸라지) 행태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특위 발족 자체를 두고 "본인들이 원하는 특검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노골적으로 관여하겠다는 선언"(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이라고 반발했지만, 민주당은 별도의 특검 지원 활동을 멈추지 않을 태세다.
31일 특위의 첫 행선지는 윤 전 대통령이 수용돼 있는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였다. 이들은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등과 면담한 뒤 구치소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윤 전 대통령의 접견 관련 자료 등을 확인했다. 나름의 성과도 있었다. 서울구치소 측은 위원들과 면담에서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상태에 대해 "수사받지 못할 정도로 크게 건강 상태가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병주 의원은 서울구치소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이) 변호인 접견을 통해 수시로 밖으로 나오는데 접견 장소도 일반 변호인 접견과 다른 장소에서 하는 특혜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1일 이날 현장 점검 실태에 대한 종합 평가를 발표할 예정이다.
특위는 향후 특검 수사 기간 연장, 내란특별재판부 도입 등도 검토할 예정이다. 전현희 총괄위원장은 전날 출범식에서 "수사를 방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범죄로 간주해 적극 대응할 것을 선언한다"며 "필요하면 제도·법령 개선 등 국회 차원에서 지원하겠다. (특검 수사) 기간 연장 등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검이 청구한 영장이 법원에서 잇따라 기각된 것을 두고는 "법원에 의해 특검 조사가 사실상 방해되는 경우 내란특판도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3대 특검을 전폭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이번 특위는 총 46명이 참여한 매머드급 규모로 앞으로 각종 입법·제보 접수 등에 나설 예정이다. 특위는 △김건희특검위원회(위원장 전현희) △내란특검위원회(위원장 김병주) △해병대원특검위원회(위원장 김병주) △3대특검제보센터 및 공익제보자 보호센터(센터장 백혜련) 등으로 구성됐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