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65만명 찾은 보령머드축제 개막
조치원복숭아축제 DJ와 '피치 비어...'
'0시 축제' 대전시, 버스 우회노선 운영
지난해 165만 명이 찾은 보령머드축제 등 한여름에 열리는 충청권 축제들이 줄줄이 막을 올리고 있다. 더워지기를 기다렸다는 듯, 동시다발적이다.
27일 충남도에 따르면 대천해수욕장 머드엑스포광장에서 제28회 ‘보령머드축제’가 개막했다.
올해 축제는 ‘세계인과 함께하는 신나는 머드체험’을 주제로 △월드디제이페스티벌 △KBS 케이팝(K-POP) 슈퍼 라이브 △엠넷 엠카운트다운 △TV조선 슈퍼콘서트(트로트) △케이-힙합 페스티벌 등 공연 행사와 △머드체험존 △머드온더비치 △머드몹신 △머드뷰티케어 등 체험 행사, △보령 특산물 전시 판매 △지역청년희망부스 등이 진행된다.
조치원복숭아축제 DJ와 '피치 비어...'
'0시 축제' 대전시, 버스 우회노선 운영
![]() |
2025 보령머드축제 개막시. 충남도 제공 |
지난해 165만 명이 찾은 보령머드축제 등 한여름에 열리는 충청권 축제들이 줄줄이 막을 올리고 있다. 더워지기를 기다렸다는 듯, 동시다발적이다.
27일 충남도에 따르면 대천해수욕장 머드엑스포광장에서 제28회 ‘보령머드축제’가 개막했다.
올해 축제는 ‘세계인과 함께하는 신나는 머드체험’을 주제로 △월드디제이페스티벌 △KBS 케이팝(K-POP) 슈퍼 라이브 △엠넷 엠카운트다운 △TV조선 슈퍼콘서트(트로트) △케이-힙합 페스티벌 등 공연 행사와 △머드체험존 △머드온더비치 △머드몹신 △머드뷰티케어 등 체험 행사, △보령 특산물 전시 판매 △지역청년희망부스 등이 진행된다.
올해 보령머드축제 ‘세계인과’
이날 개막식에는 도의회 의장, 보령시장, 지역 국회의원, 시의원 등 1만여 명이 참석했다. 충남도는 이 자리에서 안전하고 편안한 축제 환경 조성을 위한 철저한 약속하는 한편, 보령머드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인근 지역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2025∼2026 충남 방문의 해’와 연계한 관광 홍보 활동도 펼쳤다.
보령머드축제는 국내 여름 축제로 자리 잡은 데 이어 ‘아시아 대표 일탈형 축제’로 선정되는 등 해외에서도 인지도를 올리고 있다. 지난해 외국이 8만여 명을 포함, 165만명이 찾았다. 보령머드축제는 작년 2월 세계축제협회가 주최한 ‘축제 어워드 및 축제도시 콘퍼런스’에서 중국 칭다오 맥주 축제와 함께 ‘일탈형 축제’에 선정됐다. 참가자들이 머드를 온몸에 바르고 즐기는 독특한 체험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염천 달구는 드레스 코드 ‘핑크’
![]() |
'가장 선호하는 품종은...' 25일 세종 조치원에서 열린 복숭아축제에서 소비자평가단이 조치원복숭아 품종을 평가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
앞서 25일 복숭아 특산지인 세종 조치원의 세종시민운동장 일대에서는 복숭아축제가 열려 주말까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이번에 본격 선보인 '핑크 드레스코드 이벤트'에 참여하려는 방문객이 장사진을 이뤘다.
분홍빛으로 물든 가발을 쓰거나 온 가족이 분홍색으로 복장을 통일하는 등 저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복숭아 패션'을 뽐냈다. 방문객들은 드레스코드 이벤트몰에서 분홍색 복장을 인증한 뒤 탐스러운 복숭아를 받아가거나 복숭아 할인권, 인생네컷 촬영권, 복숭아 굿즈 등을 수령하며 축제를 즐겼다.
그러나 체감온도 40도에 육박하는 36도의 폭염이 예보되자 한복 패션쇼, 어린이 치어리딩 등 일부 행사는 취소, 축소돼 진행됐다. 하지만 폭염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을 끌어 모른 것은 다채로운 행사였다. 대표적인 게 각종 공연과 함께 새콤달콤한 복숭아 주류를 즐길 수 있는 '피치 비어 나잇'이었다. 피치비어나잇은 약 200개의 책상형 객석에서 편안하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어 특별한 재미를 선사했다.
또 야간에 진행한 체리필터의 공연과 디제이(DJ) 파티에서는 화려한 퍼포먼스와 차디찬 복숭아 맥주가 어우러지면서 더위를 날렸다. 조치원복숭아는 117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종시의 대표 과일로, 판로 확대 목적 등으로 매년 7~8월 축제가 열린다.
“더워지길 기다렸다” 대전0시 축제
무더위가 극에 달하는 내달 9일부터는 대전에서 0시 축제가 열린다. 대전의 밤 문화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지역 대표 축제로, 페스티벌 분위기가 자정(0시)부터 본격화하는 특성의 축제다. ‘잘 있거라 나는 간다~ 대전발 0시 50분~’이라는 추억의 대중가요 ‘대전 부르스’를 모티브로 한다.
올해 축제는 9~16일 대전역부터 옛 충남도청 구간 중앙로(약 1km)를 중심으로 원도심 상권 일원에서 열린다. 축제 기간 길거리 퍼레이드, K-POP 콘서트부터 패밀리 테마파크, 거리공연, 전시, 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가족은 물론, 연인, 친구,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다채롭게 구성된다.
대전시는 축제 기간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내버스 일부 노선을 임시 우회 운행하기로 했다. 도심 구간을 경유하는 총 29개 시내버스가 대상이며, 우회 운행은 8월 6일 첫차부터 17일 막차까지 적용된다. 급행 1·2·4번, 일반 101·103번 등 총 365대의 버스가 대흥로와 우암로를 경유한다.
![]() |
대전시가 27일 공개한 0시 축제 기간 우회 버스 노선 및 임시 정류장 위치도. 내달 9~16일 열리는 '대전 0시 축제' 기간 중 교통 혼잡 최소화 하기 위해 시내버스 일부 노선을 임시 우회 운행하기로 했다. 대전시 제공 |
정민승 기자 msj@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