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7.7 °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與 전대 D-6 ’…정청래 ‘굳히기’ 박찬대 ‘뒤집기’ 막판 스퍼트

헤럴드경제 이영기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초반 권리당원 투표 압승’ 정청래, 대세론 앞세워 대의원 표심도 공략
‘姜사퇴 촉구’ 박찬대, 明心 부각·‘국힘 때리기’ 강화로 對野 선명성 강조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더불어민주당 새 대표를 선출하는 8·2 전당대회가 27일로 6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청래·박찬대 후보(기호순)가 막판 전력 질주에 들어갔다.

충청·영남권 경선의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승한 정 후보는 기세를 몰아 ‘굳히기’ 체제로, 박 후보는 ‘뒤집기’에 나선 상태다.

두 후보 모두 친명(친이재명)계다. 누가 당선돼도 친정 체제라는 평가 속에서 이들의 대결은 사실상 개혁에 대한 선명성과 추진력 문제 등으로 좁혀진 모습이다.

‘당 대포’를 자임하며 ‘싸우는 리더십’을 트레이드 마크 삼은 정 후보에게 권리당원의 표가 쏠리자 초반 ‘당·정·대 원팀’과 ‘대야 협치’를 부각했던 박 후보가 선거 기조를 바꿔 ‘국민의힘 때리기’로 무게 중심을 이동했다.

박 후보는 충청·영남 권리당원 투표에서의 패배 직후인 22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지난 1월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시도 시 관저에 집결했던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특검의 체포동의안이 오면 바로 가결하겠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25일에는 김기현·나경원 등 국민의힘 의원 45명을 일일이 호명하며 이들에 대한 의원 제명 결의안 제출이란 초강수를 들고 나왔다.


또 사실상 국민의힘에 대한 국고 보조를 차단하는 내란특별법 발의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26일에는 김건희 특검 활동 기한 연장과 특검법 재발의도 예고했다.

박 후보의 이런 강경한 대야 공세에는 선거운동 초반에 집권 여당 대표의 역할로 개혁 이슈와 함께 원팀 및 협치 등을 제시한 것이 권리당원의 마음을 움직이기에는 제한적이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박 후보 측 한 관계자는 “박 후보가 개혁에 있어서 정 후보보다 못할 게 없는데 잘 부각이 안 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박 후보는 전대 전 마지막 한 주도 이른바 ‘완전한 내란 종식’을 외치며 강성 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소속 의원 등 조직 내에선 정 후보보다 우세하다는 자체 판단을 토대로 대의원 표심을 굳건히 하는 데도 공을 들일 전망이다.

민주당 대표는 권리당원 55%, 대의원 15%, 일반 여론조사 30%를 합산해 선출한다. 현재 전체 권역 가운데 충청·영남 권리당원 투표만 진행됐으며 폭우 피해를 이유로 남은 지역은 전당대회 때 같이 진행하는 것으로 일정이 변경됐다.


나아가 박 후보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였던 강선우 의원 낙마 사태 때 자진 사퇴를 촉구한 것도 득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길 기대하고 있다. 이는 사실상 명심(明心·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확인된 데다가 집권 여당 대표로 이 대통령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역할을 했다는 자평에 따른 것이다.

정 후보는 사실상 대세가 정해졌다고 보고 기존 페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자신의 투쟁력과 함께 ‘전광석화 추진력’이 개혁적인 당 대표를 원하는 권리당원들을 움직였다고 보는 것이다.

정 후보는 앞서 국회가 위헌 정당 해산을 청구할 수 있게 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지난 25일에는 검사를 징계로 파면할 수 있게 하는 검찰개혁 법안을 추가로 내놨다.

지난 대선 때 ‘호남 한달살이’를 한 것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권리당원의 30% 이상이 모인 호남권에서 득표차를 벌리면서 승기를 확실히 잡을 수 있다는 판단인 셈이다.

정 후보 측은 조직표 역시 ‘밴드웨건 효과’에 따라 권리당원과 비슷한 추세로 움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후보 측은 박 후보의 강 의원 사퇴 촉구도 박 후보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 대표 선거 과정에서 자당 후보자를 저격한 것이 강성 지지층 입장에서는 ‘자기 정치’로 비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일부 지지자들은 박 후보가 강 의원을 못 지켰다고 비난하고 있다.

당 대표 공약을 둘러싼 두 후보의 신경전도 포착됐다. 양 진영 모두 공개적인 네거티브는 자제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공약 면에서는 서로 차별점을 강조하며 각을 세우는 모습이다.

박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컷오프(공천 배제)를 폐지하면 퇴출 대상자들만 환호한다”며 “‘노컷’은 말장난”이라고 말했다. 억울한 공천 배제를 없애겠다며 ‘노컷 당 대표’가 되겠다고 공약한 정 후보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자 정 후보는 페이스북에서 “무자격자, 퇴출 대상자는 후보자 검증위에서 걸러지기 때문에 (그들이) 환호할 일은 없을 것”이라며 “무자격자를 현혹할 의도는 없다”고 맞받았다.

한편 두 후보는 이날 저녁 2차 방송 토론회에 이어 29일 3차 토론을 한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최홍만 유퀴즈 출연
    최홍만 유퀴즈 출연
  2. 2김준호 아들
    김준호 아들
  3. 3장영란 한창 한의원
    장영란 한창 한의원
  4. 4울산 고베 경기 패배
    울산 고베 경기 패배
  5. 5기성용 외모
    기성용 외모

헤럴드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