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미국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등을 문제삼아 교내 정책 변경을 추진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컬럼비아대 사례를 바탕으로 하버드대 등 다른 유명대학들과도 합의도출을 추진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앞서 컬럼비아대는 지난 23일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벌금 2억 달러(약 2,800억원)를 내는 대신 매년 12억 달러(약 1조6천억원)가 넘는 연방 보조금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면서 컬럼비아대를 상대로 진행했던 6건 이상의 민권법 위반 혐의 조사도 종결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컬럼비아 대학을 모델로 삼아 하버드대, 코넬대, 듀크대, 노스웨스턴대, 브라운대 등 다른 명문대학들과의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와의 합의를 핵심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 등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다가 대학측이 '자율권'을 이유로 거부하자 연방정부가 할 수 있는 각종 행정조치를 동원해 전방위 압박을 가해왔다.
우선 정부 지원금을 회수하고 기존의 연방 정부 계약을 재검토하는 한편 최근에는 외국 유학생 유치를 위해 필요한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을 박탈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하버드대는 협상 과정에서 올바른 일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대로 합의가 이뤄질 경우 믿기 어려울 정도로 역사적이고 유익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달이 지나도록 양측간 협상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는 상태다.
앞서 하버드대 최초의 흑인 총장이었던 클로딘 게이(Claudine Gay)는 지난해 초 캠퍼스내 반유대주의 논란과 관련해 자진 사임한 바 있다.
게이 총장은 미 명문대 내부의 '유대인 혐오'와 관련해, 미 연방하원 청문회에 불려나갔다가 " 일종의 표현의 자유"라고 답변했다가 궁지에 몰렸다.
지난해 하버드대 졸업식에서는 졸업생 수백명이 집단 퇴장하는 일도 벌어졌다. 미 대학가의 친팔레스타인 시위의 연장선상이었는데,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