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 기자]
구글이 복잡한 질문에 주제별로 정리된 답변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능을 공개했다. 'AI 개요'와 'AI 모드'에 이은 새로운 AI 검색 기능이다.
구글이 24일(현지시간) 검색 결과를 체계적으로 구성해주는 실험적인 AI 기능 '웹 가이드(Web Guide)'를 공개했다.
사용자 검색어를 분석해 관련 웹페이지를 주제별로 묶어주는 방식으로, 특히 개방형 질문이나 복잡한 문장을 입력했을 때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 |
구글이 복잡한 질문에 주제별로 정리된 답변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능을 공개했다. 'AI 개요'와 'AI 모드'에 이은 새로운 AI 검색 기능이다.
구글이 24일(현지시간) 검색 결과를 체계적으로 구성해주는 실험적인 AI 기능 '웹 가이드(Web Guide)'를 공개했다.
사용자 검색어를 분석해 관련 웹페이지를 주제별로 묶어주는 방식으로, 특히 개방형 질문이나 복잡한 문장을 입력했을 때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이번 웹 가이드는 AI 모드에서 도입한 '팬아웃(fan-out)' 기법의 응용 버전이다.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기술을 활용한다.
검색 결과를 단순한 순서가 아닌, 질문의 다양한 측면에 따라 주제별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 검색으로는 놓칠 수 있었던 관련 페이지까지도 연결된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본에서 혼자 여행하는 방법"처럼 폭넓고 구체적인 질문을 입력하면, 웹 가이드는 '여행 안전 팁' '개인 블로그 후기' '포괄적 여행 가이드' 등 다양한 주제별로 검색 결과를 분류해 제공한다.
또 "가족이 여러 시간대에 흩어져 살고 있다. 떨어져 있어도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도구는"과 같은 복합 문장도 구조화된 결과로 정리해 준다.
![]() |
구글의 실험 플랫폼인 '서치 랩스(Search Labs)'를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현재 이 기능은 구글 검색의 '웹(Web)' 탭에 우선 적용된다. 구글은 앞으로 이 기능을 '전체(All)' 탭 등 다른 검색 영역으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Copyright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