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강선우 의원직 사퇴 촉구에 정청래 방어
박찬대 “이재명 정부 성공 위한 결단”
![]() |
정청래(왼쪽)·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를 뽑는 8·2 전당대회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청래 의원과 박찬대 의원 간 경쟁이 치열하다. 이들은 검찰 개혁, 내란 척결에 뜻을 같이하면서도 정 의원은 당심을, 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인 이른바 ‘명심’을 내세우는 등 엇갈린 전략을 보였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기점으로 당심과 명심의 전략이 선명해지면서 전당대회 변수로 떠오른 모습이다.
25일 민주당에 따르면 정 의원과 박 의원은 나란히 검찰 개혁과 내란 척결 이슈에 목소리를 높였다. 검찰 개혁과 내란 척결은 민주당 지지층의 요구 사항 중 하나로 꼽힌다. 정 후보는 이날 검사징계법·검찰청법 개정안 등 검찰개혁 2법을 대표 발의했다. 중범죄를 저지른 검사를 징계로 파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법안의 골자다.
이어 박 후보는 국민의힘 45명의 의원 제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냈다. 박 후보는 이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저지한 만큼 ‘내란 동조범’이라고 규정했다.
박 후보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 국회의원 45명이 윤석열 내란 사태에서 인간 방패 역할을 했다”며 “헌법을 무너뜨린 자들이, 민주 정부의 정당한 권한을 부정하고 있는 현실, 이대로 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헌법을 무너뜨리고 국민을 외면한 ‘윤석열 방패’를 반드시 끌어내리겠다”면서 “이들은 이제 국민의 대표가 아니라 헌법 파괴자로 남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이들은 세부적인 선거 전략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정 의원은 당심을, 박 의원은 명심을 부각 시켰다.
정 의원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내란수괴 피의자 윤석열(에 대한) 국힘당원(국민의힘 당원) 징계안 제출한적 있는 가”라며 “내란에 눈감은 자들이 뭔 할 말이 있다고, 위헌정당 해산심판으로 의원직 박탈당할 수도 있으니까 적당히들 하라”고 직격했다.
국민의힘이 강 전 후보자의 의원직 사퇴를 촉구하자 정 의원이 이를 방어한 것이다. 그간 민주당 강성 당원들은 ‘강 전 후보자 사수’를 목표로 해왔던 만큼 정 의원의 이번 발언은 당심을 공략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 의원은 강 전 후보자가 자진사퇴를 밝힌 직후에도 “안타깝다”며 “앞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텐데 잘 헤쳐나가길 바란다”고 위로하기도 했다.
정 의원의 당심과 박 의원의 명심 내세우기 전략은 23일 벌어진 ‘강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촉발됐다. 박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어렵고 힘들지만 결정해야 한다,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글을 올린 뒤 10여분 뒤 강 전 후보자가 사퇴 의사가 담긴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했다. 이를 두고 박 의원이 ‘명심’을 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반면
박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강 의원 사퇴 요구에 대해 “대통령실과 사전에 직접적인 교감은 없었지만, 느낌은 좀 있었던 것 같다”며 “결국 저나 강 의원 모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 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20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이처럼 정 의원과 박 의원의 선거 전략 차이가 뚜렷해지면서 이목은 내달 2일 열리는 전당대회에 쏠린다. 민주당은 내달 2일 호남권 및 경기·인천 경선과 서울·강원·제주 경선을 통합 진행한다. 앞서 진행된 충청·영남권 투표에서 정 의원(62.65%)이 박 의원(37.35%)을 앞섰다. 다만 현재 전체 투표 중 30% 정도만 진행됐고 나머지 투표 결과가 2일에 공개되는 만큼 뚜껑을 열어봐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현재 나타난 충청·영남권 투표 결과만 가지고 예측하긴 어려울 것 같다”며 “두 후보 사이의 격차가 크지만 여러 상황이 겹친 탓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투데이/유승호 기자 (pete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