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30.2 °
이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강선우 사퇴’ 민주당 전당대회 변수로…정청래 굳히기vs박찬대 뒤집기

이투데이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자진 사퇴 후 정청래 ‘당심’vs 박찬대 ‘명심’ 전략 선명
정청래·박찬대 나란히 검찰개혁·내란척결 강조
野 강선우 의원직 사퇴 촉구에 정청래 방어
박찬대 “이재명 정부 성공 위한 결단”


정청래(왼쪽)·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정청래(왼쪽)·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를 뽑는 8·2 전당대회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청래 의원과 박찬대 의원 간 경쟁이 치열하다. 이들은 검찰 개혁, 내란 척결에 뜻을 같이하면서도 정 의원은 당심을, 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인 이른바 ‘명심’을 내세우는 등 엇갈린 전략을 보였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기점으로 당심과 명심의 전략이 선명해지면서 전당대회 변수로 떠오른 모습이다.

25일 민주당에 따르면 정 의원과 박 의원은 나란히 검찰 개혁과 내란 척결 이슈에 목소리를 높였다. 검찰 개혁과 내란 척결은 민주당 지지층의 요구 사항 중 하나로 꼽힌다. 정 후보는 이날 검사징계법·검찰청법 개정안 등 검찰개혁 2법을 대표 발의했다. 중범죄를 저지른 검사를 징계로 파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법안의 골자다.

이어 박 후보는 국민의힘 45명의 의원 제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냈다. 박 후보는 이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저지한 만큼 ‘내란 동조범’이라고 규정했다.

박 후보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 국회의원 45명이 윤석열 내란 사태에서 인간 방패 역할을 했다”며 “헌법을 무너뜨린 자들이, 민주 정부의 정당한 권한을 부정하고 있는 현실, 이대로 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헌법을 무너뜨리고 국민을 외면한 ‘윤석열 방패’를 반드시 끌어내리겠다”면서 “이들은 이제 국민의 대표가 아니라 헌법 파괴자로 남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이들은 세부적인 선거 전략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정 의원은 당심을, 박 의원은 명심을 부각 시켰다.


정 의원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내란수괴 피의자 윤석열(에 대한) 국힘당원(국민의힘 당원) 징계안 제출한적 있는 가”라며 “내란에 눈감은 자들이 뭔 할 말이 있다고, 위헌정당 해산심판으로 의원직 박탈당할 수도 있으니까 적당히들 하라”고 직격했다.

국민의힘이 강 전 후보자의 의원직 사퇴를 촉구하자 정 의원이 이를 방어한 것이다. 그간 민주당 강성 당원들은 ‘강 전 후보자 사수’를 목표로 해왔던 만큼 정 의원의 이번 발언은 당심을 공략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 의원은 강 전 후보자가 자진사퇴를 밝힌 직후에도 “안타깝다”며 “앞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텐데 잘 헤쳐나가길 바란다”고 위로하기도 했다.

정 의원의 당심과 박 의원의 명심 내세우기 전략은 23일 벌어진 ‘강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촉발됐다. 박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어렵고 힘들지만 결정해야 한다,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글을 올린 뒤 10여분 뒤 강 전 후보자가 사퇴 의사가 담긴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했다. 이를 두고 박 의원이 ‘명심’을 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반면


박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강 의원 사퇴 요구에 대해 “대통령실과 사전에 직접적인 교감은 없었지만, 느낌은 좀 있었던 것 같다”며 “결국 저나 강 의원 모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 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20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 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20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처럼 정 의원과 박 의원의 선거 전략 차이가 뚜렷해지면서 이목은 내달 2일 열리는 전당대회에 쏠린다. 민주당은 내달 2일 호남권 및 경기·인천 경선과 서울·강원·제주 경선을 통합 진행한다. 앞서 진행된 충청·영남권 투표에서 정 의원(62.65%)이 박 의원(37.35%)을 앞섰다. 다만 현재 전체 투표 중 30% 정도만 진행됐고 나머지 투표 결과가 2일에 공개되는 만큼 뚜껑을 열어봐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현재 나타난 충청·영남권 투표 결과만 가지고 예측하긴 어려울 것 같다”며 “두 후보 사이의 격차가 크지만 여러 상황이 겹친 탓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투데이/유승호 기자 (pete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열혈농구단 서장훈 감독
    열혈농구단 서장훈 감독
  2. 2GS칼텍스 이영택 감독
    GS칼텍스 이영택 감독
  3. 3장동혁 반탄
    장동혁 반탄
  4. 4강민호 정수빈 1000득점
    강민호 정수빈 1000득점
  5. 5한미 제조업 동맹
    한미 제조업 동맹

이투데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