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19.3 °
이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트럼프, 관세 하한선 15%로 제시…“미국·EU, 무역합의 임박”

이투데이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기존 하한 10%에서 높아져
“중국과 협상 마무리 단계”
대만 “미국과 4차 협상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앤드루 W 멜론 강당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서밋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앤드루 W 멜론 강당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서밋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내달 1일 상호관세 유예 마감 시한을 앞두고 관세율 하한선을 15%로 제시했다. 기존에 제시한 10%보다 높아진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서밋 행사에서 “15%에서 50% 사이의 단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몇몇 국가들과는 관계가 그리 좋지 않았기 때문에 50%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너무 많은 나라가 있어 모두와 협상을 할 수 없으므로 일부 국가에는 매우 단순한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해방의 날’ 당시에는 거의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적 관세를 제시했다. 이달 초에는 “150개 이상의 국가에 ‘아마 10% 또는 15% 정도’의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의 이날 발언은 관세 하한선이 10%에서 15%로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의 시작점을 15%라고 명시한 것은 거의 모든 교역 상대국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최신 움직임”이라며 “미국과 무역의 틀을 협상한 소수 국가 외에 수출품에 보다 공격적으로 관세를 매기려는 의도를 나타낸 것”이라고 풀이했다.

전날 무역협상을 타결한 일본에 대해서는 7일 서한으로 통보했던 25%가 아닌 15%로 관세율을 낮췄다. 대신 일본이 자동차와 농산물 시장을 개방하고 5500억 달러(약 560조 원)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약속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알렸다.


이에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영국은 10%, 베트남 20%,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19%로 각각 관세 협상을 완료했다. 협상 기간에 임시로 부과된 기본관세(10%)를 그대로 유지한 영국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존보다 높은 관세율을 받아들었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의 무역협정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23일(현지시간) 전해졌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의 무역협정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23일(현지시간) 전해졌다.


한국, 인도, 유럽연합(EU) 등은 여전히 관세 인상 시행 전까지 합의 도출을 위해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이날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하기로 한 32%의 고율 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과 4차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EU와의 무역협상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진지하게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이어 “EU가 미국 기업에 시장을 개방하기로 합의한다면 우리는 그들에 더 낮은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 3명을 인용해 미국과 EU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예고한 관세율 30%를 15%로 낮추는 방향의 무역협상 타결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협상과 관련해서는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공유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처음엔 다수의 무역 협정을 성사시키기를 기대했지만, 최근에는 관세 부과 통보 서한 자체를 ‘협정’이라고 부르며 협상에 큰 관심이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그러나 해당 서한을 받은 국가가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낮출 여지는 열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지렛대로 시장 개방을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에) 시장을 개방했다”면서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또 다른 글에서는 “주요 국가들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게 만들 수 있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것”이라며 “그것(시장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고 역설했다.

[이투데이/이진영 기자 (min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문소리 각집부부
    문소리 각집부부
  2. 2손흥민 해트트릭
    손흥민 해트트릭
  3. 3삼성 디아즈 3타점
    삼성 디아즈 3타점
  4. 4홍성호 끝내기 안타
    홍성호 끝내기 안타
  5. 5김종국 정자왕
    김종국 정자왕

이투데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