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중국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 업체 알리익스프레스 한국법인이 외국인투자기업 지위를 포기하고 한국기업으로 전환했다.
21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3월 외국인투자기업 등록을 말소하고 한국 사업자 등록을 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투자기업정보를 봐도 알리바바 등은 외국인투자기업 명단에 올라와 있지만,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는 없다.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사업이나 서비스엔 변화가 없고, 단순 법적등록 형태만 변경된 것이다. 회사 관계자도 “지난 3월 외국인투자기업에서 한국기업으로 전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21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3월 외국인투자기업 등록을 말소하고 한국 사업자 등록을 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투자기업정보를 봐도 알리바바 등은 외국인투자기업 명단에 올라와 있지만,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는 없다.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사업이나 서비스엔 변화가 없고, 단순 법적등록 형태만 변경된 것이다. 회사 관계자도 “지난 3월 외국인투자기업에서 한국기업으로 전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외국인투자기업으로서 받는 세제 혜택 등을 포기해야 하는만큼 알리익스프레스의 이번 한국기업 전환 배경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현재 추진 중인 G마켓과의 합작법인 설립이 이유로 꼽힌다. 현행법상 외국인투자기업이라고 해서 합작법인 설립에 제약이 있는 건 아니다. 외국인투자기업 지분이 10% 이상이고, 투자액이 1억원 이상이면 된다.
그럼에도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가 외국인투자기업 지위를 포기한 건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직접적인 지배구조에서 벗어나 경영 투명성이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중국 이커머스에 대한 불신이 아직도 높은 국내 시장의 특성상 한국기업 신분이 더 사업에 적합하다는 판단도 작용했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경영전략상 외국인투자기업 혜택의 필요성보다 국내 기업의 지위가 더 필요한 부분도 있다”며 “중국 알리바바그룹 차원에서 한국 이커머스 사업의 책임을 오롯이 합작법인에 주기 위한 수순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