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6.1 °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영끌·갭투자 잡는 '초강력 규제'…"필요" vs "과도"

연합뉴스TV 박준혁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앵커]

6.27 대책의 후폭풍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시민들의 반응은 여러 갈래였습니다.

투기 수요는 잡아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면서도 우려하는 반응도 있었는데요.

민심은 어떤지 박준혁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기자]

'영끌' 그리고 '갭투자'.


이번 6.27 부동산 대책이 겨냥한 키워드입니다.

정부가 시장 과열을 부추기는 원인이라 보고 원천봉쇄에 나선건데요.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 등을 골자로 한 '초강력' 규제.


당장의 부동산 열기는 잠재웠지만, 시민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이른바 과도한 영끌, 무리한 투기 심리를 억제한다는 데서 일단 환영한다는 반응이 먼저 나옵니다.

<서덕진 / 서울 성동구> "대출받아서 집을 산다는 거는 자유지만, 감당할 수 없는 상태에 청년들이 도산하는 경우도 많이 있고…제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해서…"


반면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간섭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규제로 주택 구매 계획이 틀어진 실수요자들은 곤란한 상황에 한숨을 내쉬기도 했습니다.

<남의진 / 서울 강남구> "영끌이라는 거 자체가 사실 개인의 능력 안에서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건데 그거 자체가 막혀버리는 순간 개인이 뭔가 의욕도 사라질 것 같고…"

<황의영 / 서울 마포구> "기존의 계획에서는 대출의 폭이 제 예상치 내에 있었는데 규제가 되면서 아무래도 한도가 줄었잖아요. (구입) 시점을 미룰 수밖에 없는…"

예고없이 규제의 유탄을 맞은 곳도 있습니다.

재건축·재개발 조합원들은 다주택자로 분류되는데, 주거 정리에 필요한 이주비 대출까지 원천 차단돼 당황스럽단 반응입니다.

<김명수 / 노량진1주택재개발 조합원> "이주비가 나가서 투기 활동을 할 수 있는 그런 성격은 아니잖아요. 어디 가서 대출을 받을 데가 없어요."

일선 중개업소에선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는 분위기라고 말합니다.

고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확연히 줄었고 하락을 기대하며 구매를 유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진호 / 공인중개사> "고가의 아파트 또는 높은 가격 이런 부분은 굉장히 위축돼 있는 상태에 와 있고요. 중저가의 아파트라든가 소형 평수 마련하고자 했던 분들은 (가격 하락을) 좀 유보적으로 지켜보겠다 …"

과열 상태였던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선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정택수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국책사업팀 부장> "(영끌·갭투자가) 굉장히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었는데요.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굉장히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번 대출 축소 방향은) 조기에 어느 정도 그 흐름을 잡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수요 억제에 방점을 둔 이번 대책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았습니다.

연합뉴스TV 박준혁입니다.

[영상취재 박태범 진교훈]

#투자 #부동산 #영끌 #627대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준혁(baktoyou@yna.co.kr)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채연 계약 종료
    이채연 계약 종료
  2. 2LPGA 퀸시티 챔피언십
    LPGA 퀸시티 챔피언십
  3. 3라포르트 빌바오 복귀
    라포르트 빌바오 복귀
  4. 4조희대 사법개혁 소통
    조희대 사법개혁 소통
  5. 5김종국 결혼 차태현
    김종국 결혼 차태현

연합뉴스TV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독자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