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17.4 °
세계일보 언론사 이미지

애벌레가 어깨 위로 ‘툭’…러브버그 가고 도심 점령한 ‘이 해충’ 뭐길래

세계일보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미국흰불나방' 주의보, 가로수, 조경수 등 피해
산림과학원,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 '주의' 단계 상향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0일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

미국흰불나방 피해를 입은 나뭇잎.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미국흰불나방 피해를 입은 나뭇잎.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이날 산림청에 따르면, 미국흰불나방은 벚나무와 포플러 등 다양한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 식엽성 외래 해충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우리나라는 1958년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은 연간 2회 발생하는데,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은 도심 가로수와 조경수 잎을 갉아 먹으며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 불편과 도시 경관 훼손을 유발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유충 피해율을 모니터링한 결과, 15.8%로 나타났다.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다.

올해 2세대 피해율 예측치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최근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흰불나방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미국흰불나방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국립산림과학원은 1981년부터 고정 조사구를 운영하며 매년 피해도를 조사해 오고 있다.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세대 수 증가로 추정된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포스테코글루 경질
    포스테코글루 경질
  2. 2배정남 반려견 벨
    배정남 반려견 벨
  3. 3이준호 김민하 태풍상사
    이준호 김민하 태풍상사
  4. 4쇼트트랙 최민정 은메달
    쇼트트랙 최민정 은메달
  5. 5우주메리미 쌍방구원
    우주메리미 쌍방구원

세계일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