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7.6 °
중앙일보 언론사 이미지

[사설] 의혹 후보자마다 해명은 않고 “청문회서 말하겠다”

중앙일보 n/a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던 중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던 중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교육장관 후보 등 각종 의혹에도 해명 무성의





김민석 총리 검증처럼 대충 넘기려는 속셈인가



이재명 정부의 첫 장관 후보자들에게 갖가지 의혹이 제기된다. 그런데도 당사자들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은 채 “청문회에서 답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금전 관련 의문에 대한 해명을 국회 인사청문회로 미루더니 미흡한 해명에도 임명된 김민석 국무총리의 전례를 따르려는 건지 의심스럽다.

충남대 총장 출신인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채거나, 자기 논문을 여러 학술지에 부당하게 중복 게재했다는 등의 의혹을 사고 있다.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는 2022년 7월 국세청 차장직에서 물러난 뒤 세운 세무법인의 매출이 단기간에 급증해 전관 프리미엄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남편이 강원도 평창에 농지를 소유해 농지법 위반 의혹이 불거졌다. 모두 국무위원 후보자로서 심각한 결격 사유가 될 수 있으나 당사자들은 명확한 설명이 없다.

공직자의 논문 표절이나 농지법 위반은 더불어민주당이 강력하게 비난해 온 사안이다. 윤석열 정부 당시 박순애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되자 민주당은 지명 철회를 주장했다. 윤희숙 국민의힘 전 의원 부친의 농지법 위반이 불거졌을 때 민주당은 비난을 쏟아냈고, 결국 윤 전 의원이 의원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그런데 이번 정부 장관 후보자들은 각종 의혹을 성실히 해명하지 않은 채 청문회 때 말하겠다는 식이다.

김 총리 임명 과정에서 국회 청문회는 사실상 통과 의례로 전락했다. 김 총리는 출처가 불분명한 6억원에 대한 소명을 요구받았으나 청문회가 열릴 때까지 숨겼다. 장모에게 받았다는 2억원은 청문회 직전에 증여세를 내놓고 뒤늦게 공개했다. 2억원을 투자해 월 450만원씩 받았다는 배추 농사 얘기도 청문회에서 꺼냈다. 그래놓고 의혹을 제기했던 야당 의원을 공격했다. 이재명 정부 첫 내각 검증이 무기력해진 데는 국민의힘의 책임도 크다. 107석을 가진 제1야당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한 채 의혹이 터져 나와도 치열하게 파고들지 못한다. 중진들까지 당권 싸움에만 매몰된 모습이다. 그러니 정부·여당이 마음 놓고 무리한 인사를 강행한다.


정부 여당이 거대 의석을 믿고 검증 절차를 무시하면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박순애 전 부총리 임명을 강행하면서 오히려 “언론과 야당으로부터 공격받느라 고생 많이 했다”고 격려했다. 결국 박 전 부총리는 만 5세 입학 정책 등으로 거센 비난을 받다가 취임 34일 만에 사퇴했다. 현 정부도 지난 정부의 전철을 밟을 셈인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손에 쥐었다고 첫 내각 구성부터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의혹을 묵살하고 지나가면 국민의 신뢰는 생각보다 빨리 허물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의대생 복귀
    의대생 복귀
  2. 2박서진 무명시절
    박서진 무명시절
  3. 3문가영 의료 소송
    문가영 의료 소송
  4. 4김정은 푸틴 회담
    김정은 푸틴 회담
  5. 5대구 울산 경기
    대구 울산 경기

중앙일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