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7.7 °
조선일보 언론사 이미지

李대통령 한일국교 60주년 축사, 초고에 있던 ‘과거사’ 빠져

조선일보 김태준 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대통령실 검토 과정에서 빠져
한일관계 중시하는 李 의지 담긴 듯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뉴스1


지난달 16일 공개된 이재명 대통령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메시지 초안에 ‘한일 과거사 문제’에 관한 내용이 담겼었던 것으로 6일 확인됐다. 외교부가 작성한 초고에는 관련 내용이 들어갔는데, 대통령실 내부 논의 후 실제 축사에선 빠졌다. 양국 협력을 중시하고자 하는 이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외교부는 과거사 문제를 포함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대통령 메시지 초안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후 대통령실이 초고를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과거사 부분이 빠졌다. ‘한일 관계를 중시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서울에서 열린 기념행사에 ‘과거사 문제’를 제외한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실제 이 대통령은 당시 “그간의 성과와 발전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한일 관계에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이 이뤄지길 소망한다”고 하며 과거사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같은 달 1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전격 참석했다. 애초 일본 정부는 리셉션에 이시바 총리가 직접 참석하는 데에 부정적이었으나, 이 대통령의 영상 메시지가 일본 정부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7일(현지 시각)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한 이시바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에서도 과거사 문제는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반대로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한일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김태준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의대생 복귀
    의대생 복귀
  2. 2박서진 무명시절
    박서진 무명시절
  3. 3문가영 의료 소송
    문가영 의료 소송
  4. 4김정은 푸틴 회담
    김정은 푸틴 회담
  5. 5대구 울산 경기
    대구 울산 경기

조선일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