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러스트=이철원 |
아파치 공격 헬기(AH-64)의 별명은 ‘전차 저승사자’다. 1991년 걸프전에선 전차 278대를, 2003년 이라크전 때는 전차 80여 대와 장갑차 140여 대, 포 250여 문을 파괴했다. 공대지미사일 헬파이어 16기와 2.75인치 로켓 76발을 탑재해 장거리에서부터 적 전차를 제압하는 위력이 대단했다. 아파치 헬기는 1986년 미 육군에 처음 도입된 뒤 40년간 최강으로 군림했다. 영화에도 단골로 등장해 위용을 과시했는데, 심지어 전투기와도 겨룰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곤 했다.
▶아파치라는 이름은 미국 남서부에 사는 원주민 아파치족에서 따왔다.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척박한 사막에 살던 아파치족은 기마술과 매복, 야간 전투에 뛰어났다. 19세기 중반 미국과 멕시코에 맞선 아파치족의 영웅이 그 유명한 제로니모다. 미 공수부대원들은 강하 작전을 할 때마다 “제로니모”를 외친다. 아파치족 전사였던 그는 용맹과 희생의 상징이 됐다.
▶아파치로 대표되는 공격 헬기가 최근 전장에선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헬기의 무덤’이 돼버렸다. 200억원이 넘는 러시아군 Ka-52 공격 헬기가 1000만원짜리 휴대용 대공미사일에 수시로 격추됐다. 공격 헬기 Mi-28이 우크라이나군 자폭용 드론 공격을 받고 추락하는 영상도 공개됐다. 러시아군이 잃은 헬기가 300대를 넘는다고 한다. 공격 헬기는 기갑 부대 파괴에 효과적이지만, 대공 방어가 강화되면서 이런 신화도 무너지고 있다. 아파치가 과거 같은 ‘전차 킬러’의 면모를 보여줄 수 없다는 얘기가 많다.
▶지난주 국회에서 통과된 추경 예산에서 당초 본예산에 반영됐던 대형 공격 헬기 2차 사업 예산 100억원 중 97억원이 삭감됐다. 아파치 공격 헬기 36대 도입을 위한 계약 예산이었는데 사실상 없앤 것이다. 공격 헬기 퇴조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 미 육군은 작년 초 20억달러(약 2조7300억원)를 투자한 차세대 공격 정찰 헬기 사업을 취소했다. 일본 자위대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헬기 계약을 취소하고 무인 공격기를 증강하기로 했다.
▶군 안팎에서는 아직도 “드론은 신뢰성 있는 타격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평지인 우크라이나와 달리 산악 위주인 한반도에서는 공격 헬기가 조금 더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드론으로 가는 시대의 흐름은 막을 수 없다. 인명 손실이 없고 저렴한 드론 위주의 공중 전력 재편성은 불가피한 변화다. 우크라이나에서 확인된 ‘드론 전쟁 혁명’이 아파치 헬기의 시대를 저물게 하고 있다.
[양승식 논설위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