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 23.7 °
뉴스1 언론사 이미지

한미일 합참의장, 이번 주 서울서 만난다…주한미군 역할 조정 논의?

뉴스1 김예원 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10~11일 서울서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예정…李 정부 출범 후 처음

역내 주둔 미군 역할 변화 관련 美 정책 기조 확인될 수도



김명수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5.21/뉴스1

김명수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5.21/뉴스1


(서울=뉴스1) 김예원 기자 = 한미일 3국의 합참의장이 이번 주 서울에서 만나 군사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방비 인상과 방위비분담금 인상, 주한미군의 역할 재조정 등 각종 안보 현안에 대한 미국의 요구사항이 전달될 가능성이 6일 제기된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오는 10~1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Tri-CHOD)에서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 일본 합참의장 격인 요시다 요시히데 통합막료장과 만난다.

미국과 일본 합참의장의 방한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미국 합참의장의 한국 방문은 2023년 11월 찰스 브라운 당시 의장의 방한 이후 1년 8개월만, 일본 통합막료장의 방한은 2010년 오리키 료이치 당시 통합막료장의 한국 방문 이후 무려 15년 만에 성사됐다.

Tri-CHOD는 한미일 3국이 정례 개최하기로 한 국방장관회의(TMM), 안보회의(DTT) 등 고위급 회의의 일환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 등 여러 역내 군사 도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3국을 돌아가며 순회 개최된다.

2024년 7월 첫 회의는 일본 도쿄에서 열렸으며, 당시 3국은 한미일 다영역 군사훈련인 '프리덤 에지'의 확대 운영 및 북한 미사일 경보 데이터 공유 등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도 기본적으로 3국 군사 협력 확대에 대한 여러 실행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주요 의제는 북핵 대응과 이에 대한 한미일 군사협력이지만, 한미일 3자 회의 외에도 한미 간 양자 대담이 예정돼 있는 만큼, 이번 회의에서 역내 주한미군 역할의 재조정 및 국방비 인상, 방위비 증액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 동맹국들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과 마찬가지로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인상하길 요구하고 있으며, 대만 해협에서의 중국 도발 심화 등을 이유로 주한·주일미군의 대중국 견제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밝히는 등 한일 주둔 미군의 기능에 상당한 변화를 줄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번 합참의장 간 만남이 '주요 의제'보다는 미국의 안보 압박 내지는 구체적 요구사항이 한국과 일본에 전달되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케인 합참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하나로 이란 핵시설 공습 작전 등을 지휘한 인물이다. 그는 지난 4월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한국과 일본에 주둔하는 미군 규모를 평가 후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에게 권고안을 제출하겠다"라고 의견을 밝히며 미국발(發) '안보 청구서' 성안의 핵심 인물로 여겨진다.

kimyew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오산 옹벽 붕괴 사고
    오산 옹벽 붕괴 사고
  2. 2김건희 특검 집사 적색수배
    김건희 특검 집사 적색수배
  3. 3윤석열 구속적부심 출석
    윤석열 구속적부심 출석
  4. 4광주천 범람 위기
    광주천 범람 위기
  5. 5손흥민 리더십
    손흥민 리더십

뉴스1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