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가운데)이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워싱턴 D.C.의 열차역인 유니언역에 도착해 특파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현지시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무역 협상에서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여 본부장은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 D.C.에서 그리어 대표와 가진 협상에서 한·미가 한국의 새로운 정부 출범 이후 한 달간 선의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과 상호 입장 차이를 더욱 좁혀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상호 관세 유예 연장 방안을 논의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 여한구 통상본부장-그리어 USTR 대표, 상호관세 유예 연장 방안 논의
여한구 "무역합의에 자동차·철강 관세 철폐·완화 반드시 포함돼야"
여 본부장은 특히 한·미 가 긴밀하게 연계된 상호보완적인 산업 공급망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한·미 제조업 협력 비전을 제안하고, 양국의 최종 무역합의에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본부장은 또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과 한·미 간 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틀)에 관한 비전을 제시했다며 산업부는 알렸다.
여 본부장은 특히 한·미 가 긴밀하게 연계된 상호보완적인 산업 공급망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한·미 제조업 협력 비전을 제안하고, 양국의 최종 무역합의에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본부장은 또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과 한·미 간 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틀)에 관한 비전을 제시했다며 산업부는 알렸다.
앞서 여 본부장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에서 열차 편으로 워싱턴 D.C. 유니언역에 도착해 한국 특파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가 8월 1일 발효된다'고 한 것과 관련, "일단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만료 이후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 대한 새 상호관세율이 나오더라도 조금의 유예 기간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여 본부장은 "새 정부 출범 후 짧은 시간 안에 우리가 많은 진전을 이루었고, 미국 측과 협상 채널을 구축하고 상호 신뢰를 구축해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아직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미국이)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와 협상의 여지를 좀 두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8일 이후에도 한·미 간 무역협상이 진행돼 합의에 이를 수 있는 시간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부터)이 6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
◇ 여한구 "8일까지 큰 틀의 합의 도출 가능성"
다만 여 본부장은 모든 세부 사항을 포함한 합의는 8일까지 사흘 내 타결하기 어렵지만, '굵직굵직한' 큰 틀의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협상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인 미국의 계획을 파악하고, 그 안에서 우리가 실리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관해 집중적으로 협상을 할 계획"이라며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는 것도 지금의 협상 구도에서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