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시내 한 약국에 폐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고, 이중 소매업·음식점업 비중이 45%에 달했습니다.
'사업 부진'을 이유로 댄 폐업자의 비중이 금융위기 직후 수준에 가까워지는 등 경기 침체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 8천28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보다 2만 1천795명 증가하며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초로 100만 명을 넘겼습니다.
폐업자는 2019년 92만 2천15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해 2022년 86만 7천292명까지 줄었습니다.
그러다 2023년에는 11만 9천195명 급증하며 98만 6천487명을 기록했고,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하며 100만 명대로 진입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연체율 악화 등으로 2023년부터 폐업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폐업률도 2년째 상승세입니다.
폐업률은 전체 가동 사업자와 폐업자 합계 대비 폐업자 수 비율입니다.
지난해 폐업률은 9.04%로 전년(9.02%)보다 소폭 올랐습니다.
지난해 운영한 사업자 가운데 약 9%가 그해 폐업했단 의미입니다.
![]() |
서울 명동거리 한 공실 상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
폐업 사유별로는 '사업 부진'이 50만 6천198명으로 집계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