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7.0 °
아시아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고강도 대출 규제에 서울 아파트 계약 취소 속출…후속 공급대책 관심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계약 해제 사유 발생일이 27일 이후인 사례 125건
새 정부 부동산 종합대책 나올 때까지 관망세 이어질 듯
李 "대출 규제는 맛보기"…추가 수요 억제책 시행 여부 주목
이달 중 공급대책 발표할 듯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매·전세·월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매·전세·월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정부가 지난달 27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하자 서울 아파트 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기자회견에서 추가 수요 억제책을 언급한 만큼 추가 규제 여부가 주목된다.

정부의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직전 일주일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자금 조달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수요자들은 매매 계획을 보류하고, 반대로 현금을 꽤 보유한 이들은 매수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대출규제 발표 이후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 사례도 속출했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계약일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3일까지인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중 계약 해제 사유 발생일이 27일 이후인 사례는 125건으로 집계됐다.

일자별로는 대출규제 발표 당일(27일)이 사유 발생일인 거래가 39건으로 가장 많았다. 발표일 이전인 6월20∼26일 계약됐다가 이후 계약이 깨진 65건 중에도 25건이 규제 발표일이 사유 발생일이었다.


이 집값 지속 상승을 예상하고 대출을 큰 규모로 끌어당겼다가 고강도 대출규제 시행으로 추세가 반전된 데 따라 계약금 손실을 감수하고 급히 거래를 취소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이 같은 관망세는 새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이 나올 때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수요 억제책은 아직도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다"며 향후 집값이 진정되지 않으면 더 강한 규제 카드가 나올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가 추가로 검토 중인 수요 억제책으로는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강화와 함께, 전세대출 및 정책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또한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을 확대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는 세법 개정 없이도 사실상 세 부담을 높이고 대출을 조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수단으로 꼽힌다.

내년 5월 9일까지 유예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조치를 더 이상 연장하지 않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이 경우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을 처분하는 2주택자와 3주택자는 각각 20%포인트, 30%포인트의 추가 양도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김계환 전 사령관 구속영장
    김계환 전 사령관 구속영장
  2. 2조이 여동생 눈물
    조이 여동생 눈물
  3. 3오산 옹벽 붕괴 사고
    오산 옹벽 붕괴 사고
  4. 4광명 아파트 화재
    광명 아파트 화재
  5. 5민주당 전당대회
    민주당 전당대회

아시아투데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