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출용 자동차들 |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지난해 글로벌 100대 자동차부품 기업에 한국기업 10개 사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 업체들의 성장세가 2022년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전환한 흐름이어서 미국 관세 대응을 비롯한 종합적인 산업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오토모티브뉴스가 작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글로벌 100대 부품사 순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총 10곳으로 일본(22곳), 미국(18곳), 독일(16곳), 중국(15곳)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았다.
이 순위는 글로벌 주요 부품사들의 완성차업체 대상 매출을 기준으로 하며 애프터서비스(A/S) 사업 매출 등은 제외된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현대모비스(329억5천200만달러)가 4년 연속 6위에 오르며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현대트랜시스(94억2천200만달러)가 31위, 한온시스템(73억3천100만달러)이 39위로 나란히 30위대에 들었고 만도(40위·64억9천400만달러)와 현대위아(45위·58억6천300만달러)가 톱50에 진입했다.
이어 53위 SK온(45억4천만달러), 65위 에스엘(35억3천700만달러), 79위 서연이화(29억6천400만달러), 82위 유라코퍼레이션(28억3천700만달러), 97위 현대케피코(18억9천100만달러) 순이었다.
SK온은 매출액이 전년 대비 54.3% 감소해 순위가 21계단 하락했는데 전기차 성장세 둔화, 판가 하락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
현대모비스,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 공개 |
최근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국내 업체들은 2022년까지 가파르게 성장했다가 그 이후 하락세로 전환한 모양새다.
글로벌 100대 기업에 진입한 한국 업체는 2018년 6개, 2019년 8개, 2020년 9개, 2021년 10개, 2022년 11개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던 중 2023년 10개로 꺾였고 지난해 현상 유지에 그쳤다. 2022년에는 중국(13개)에 추월당해 국가 순위가 4위에서 5위로 내려가기도 했다.
한국 업체들의 합산 매출액도 2022년 901억6천만달러로 고점을 찍은 뒤 2023년 870억7천400만달러, 2024년 778억3천100만달러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