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피 3,100 넘어 상승 출발 |
(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역대 월별 코스피 등락률을 비교한 결과 코스피 상승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7월에도 '서머랠리'가 나타날 수 있을까.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 산출 기준시점인 1980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7월 수익률은 45회 중 29회 플러스(+)를 기록해 열두 달 가운데 상승한 횟수가 가장 많았다.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경우는 나머지 16회에 그쳤다.
이 기간 7월 코스피 평균 수익률은 2.1%로 나타났다.
3월과 11월 상승 횟수가 28회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4월과 12월(이상 26회), 1월과 9월(이상 23회) 등이 뒤를 이었다.
7월에 코스피 수익률이 높은 건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호실적 기대감에 외국인의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계절적으로 펀드 매니저들이 휴가를 앞두고 주식을 사놓고 떠나면서 여름철 주가가 오른다는 분석도 있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7월은 2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 시기로, 실적 기대감 등에 코스피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며 "또한 계절적으로 직전 5∼6월 주식 성과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 |
외국인 주식시장 순유입 (PG) |
실제 7월에 외국인이 코스피 시장에서 대거 '사자' 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투자자별 순매수액 관련 자료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지난해까지 외국인이 7월에 코스피 시장에서 매수 우위를 나타낸 경우는 27회 중 18회에 달했다. 27년 동안 7월 평균 외국인 순매수액은 4천618억원으로 집계됐다.
2009년 7월 외국인 순매수액이 6조13억원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에 힘입어 코스피는 그해 7월 한 달간 12.03% 급등했다. 역대 연도별 7월 수익률 기준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수치다.
그러나 올해 7월의 경우 서머 랠리를 기대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