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7.7 °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5일 새벽 일본 대지진”…예언은 틀렸지만 도카라열도서 1300회 이상 지진 발생

헤럴드경제 박지영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내가 본 미래’ 책에서 나온 예언은 틀려
도카라 열도, 보름간 소규모 지진 1300회 이상
SNS 이용보다 재난 대한 대비가 불안 잠재울 것
도카라 열도의 섬인 아쿠세키지마(惡石島).  [연합]

도카라 열도의 섬인 아쿠세키지마(惡石島). [연합]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7월 5일 새벽 4시 18분 동일본 대지진의 3배에 달하는 거대 쓰나미가 발생한다.”

일본 만화가 타츠키 료가 2021년 발간한 완전판 ‘내가 본 미래’에 나오는 예언이다. 다행히도 틀린 예언이 됐지만, 이날 오전 6시 29분께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에선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 ‘5강’은 뭔가를 붙잡지 않으면 걷기 힘든 수준의 흔들림이다.

오늘 지진뿐만이 아니다. 규슈섬 남쪽에 있는 유인도 7개, 무인도 5개가 있는 도카라 열도에선 보름간 소규모 지진이 1300회 이상 일어났다. 지난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각각 300회가 넘는 소규모 지진이 연달아 발생한 바 있다.

하지만 예전과 달리 지진 횟수가 훨씬 많고, 기존보다 흔들림이 강한 지진도 발생했다. 여기에 ‘7월 일본 대지진설’까지 퍼지면서 온라인상에서 불안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일본의 지진 전문가들은 도카라 열도에서 지진이 이어지는 이유로 특이한 지형, 해저 화산과 관련성 등을 꼽는다고 아사히신문이 5일 전했다.

야키와라 히로시 가고시마대 교수는 “균질하지 않고 복잡한 지형이 (지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니시무라 다쿠야 교토대 방재연구소 교수는 “지하 마그마의 이동 등 지반을 계속해서 미는 힘이 영향을 주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의 경우 기간이 길고 규모가 점차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지진 이후 소규모 여진이 지속되다 차츰 지각 움직임이 진정된다.

니시무라 교수는 도카라 열도에서 지금처럼 규모 6 미만 지진이 계속되면 쓰나미(지진해일)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 히라타 나오시 위원장은 전날 회의에서 도카라 열도 지진에 대해 “과거에도 몇 개월 동안 이어진 예가 있어서 1주일 정도로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보문고 캡처]

[교보문고 캡처]



한편, 방재심리학을 연구하는 기무라 레오 효고현립대 교수는 온라인상에서 대지진설이 확산하는 데 대해 “불안이 불안을 부르고 있는 아주 좋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정보를 접한 모든 사람이 정말로 (대지진설을) 믿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어느 정도 과학적 사실을 이해하는 사람도 계속해서 정보를 보거나 들으면 무시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의대생 복귀
    의대생 복귀
  2. 2박서진 무명시절
    박서진 무명시절
  3. 3문가영 의료 소송
    문가영 의료 소송
  4. 4김정은 푸틴 회담
    김정은 푸틴 회담
  5. 5대구 울산 경기
    대구 울산 경기

헤럴드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