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 21.7 °
비즈워치 언론사 이미지

[인사이드 스토리]위기의 중동 건설 "사우디 네옴시티 너마저…"

비즈워치 [비즈니스워치 정지수 기자 ]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이란과 이스라엘 충돌, 불확실성↑
사우디도 저유가에 재정 악화
'사업 우선순위 조정 불가피' 관측
원가 오르고 더뎌진 공사…韓건설 타격 우려


최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지부를 두고 있는 한 건설사가 현지 상주 직원을 제3국으로 옮겼다죠.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로 안전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제 사회를 흔들고 있죠. 중동은 국내 건설사들 해외 사업의 '텃밭'으로 여겨지는 곳입니다. 그런데 이뿐만이 아니랍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 여건 악화도 건설업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전체 사업비가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는 사우디의 '네옴시티'의 발주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당장 한창 공사가 진행돼야 할 사업도 제동이 걸린 모습이 보이기도 합니다.


이란-이스라엘 '확전'에 불확실성↑

중동은 국내 건설사의 알짜 해외사업지입니다. 지난해까지 우리나라의 해외건설 누적수주액은 1조달러에 달했는데 이 중 절반인 5008억달러가 중동에서 확보한 금액입니다.

최근 해외건설에서 중동 의존도를 낮추고는 있지만 여전히 전체 수주액의 30~40%가 중동에서 발생합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연간 해외건설 수주액에서 중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36.7%, 29.1%였습니다. 2023년에도 이는 34.3%였습니다.

그러나 지난해에 다시 중동에서 수주 규모가 커졌습니다. 수주액(371억1429만달러) 중 49.8%(184억9421만달러)가 중동에서 따낸 실적입니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116억2248만달러의 해외건설 수주액 중 중동 수주실적만 56억4174만달러입니다. 전체 수주액에서 중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48.5%입니다.

이처럼 중동에서 사업을 발주하는 규모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 실적도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이란과 이스라엘의 무력분쟁이 국내 건설사들에 악재인 이유입니다.


지난 22일 미국의 군사개입 선언과 함께 이뤄진 이란 내 핵기지 타격 등으로 중동 정세는 더욱 불안정합니다. 이란의 대응 양상에 따라 전쟁이 확대될 우려가 나옵니다.

김화랑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이란 등은 주요 분쟁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의 분쟁 확산과 무장 집단의 분열 등 복합적인 위기가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불안, 관세 정책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글로벌 건설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대우건설 이라크신항만1단계현장 안벽공사 전경/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 이라크신항만1단계현장 안벽공사 전경/사진=대우건설


이란 옆 이라크에는 사업장 다수

국내 건설사들이 이란에서 공사를 진행하는 현장은 지금은 없으나 인근 국가에는 사업장이 다수 있습니다. 특히 이란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라크에 대형 사업장이 많습니다.


이라크에 국내 건설사의 대표적인 현장은 한화 건설부문이 맡은 비스마야 신도시입니다. 이라크 바그다드 동남쪽 10㎞ 지점에 10만여가구를 짓는 신도시 조성사업으로 계약금액이 104억달러에 이릅니다. ▷관련기사: 한화 건설부문, 이라크 비스마야 7만가구 마저 짓는다(2024년 12월6일)

이 외에도 대우건설이 이라크 신항만조성공사를 수행 중이고 향후에 이라크 군사기지 관련 사업 수주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도 바스라 정유공장 고도화설비, 카르발라 정유시설 관련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것을 의결하면서 공사 차질이나 원자잿값 상승도 우려됩니다. 페르시아만을 거쳐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원유를 수출하는 쿠웨이트를 비롯한 다수 국가의 원유 수출로가 막히기 때문입니다. 도로 공사에 주로 쓰이는 아스팔트 등 원유 가격에 민감한 원자재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이라크와 쿠웨이트, 카타르 등은 운송 차질이 불가피 해 유가는 8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면서 "다만 충돌이 국지전에 머문다면 유가는 공급영향에 따라 55~75달러 수준에서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김지민 김준호 결혼식
    김지민 김준호 결혼식
  2. 2박원숙 혜은이 갈등
    박원숙 혜은이 갈등
  3. 3이지훈 아야네 러브스토리
    이지훈 아야네 러브스토리
  4. 4오은영 스테이 하니
    오은영 스테이 하니
  5. 5한상진 박정은 동상이몽2
    한상진 박정은 동상이몽2

비즈워치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