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 탐라 해상풍력발전단지 |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이재명 정부가 기후 위기 대응과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대전환'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세계적 조류인 탄소중립 전환과 이를 이행할 핵심 수단인 재생에너지 확대 방향에 공감하고 있다.
다만 민관 차원에서 수백조원에 달할 초대형 재원 투입이 예상되고, 재생에너지 확대로 전력망 관리 어려움도 가중될 것으로 보여 국민 공감대 확보와 전력망 안정 운영을 위한 체계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78GW로…현재 4배 규모
22일 정부와 전력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에너지 전환을 기반으로 한 산업 업그레이드'를 실현하려면 태양광·풍력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의 대규모 확충이 이뤄져야 한다.
2038년까지 전망을 담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상으로 2023년 30GW(기가와트)인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은 2030년 78GW로 커지고, 2038년에는 현재의 4배 수준인 121.9GW까지 확대될 계획이다.
최신 한국형 원전 한 기 설비용량이 1.4GW가량이다. 2024∼2038년 원전 65기 설비용량에 해당하는 막대한 규모의 재생에너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발전량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은 2023년 8.4%에서 2030년 18.8%, 2038년 29.2%로 순차적으로 높아진다.
나아가 현 정부가 전기본상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한층 높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태양광 패널, 풍력터빈 등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발전과 투자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로 재생에너지 투자 비용은 장기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전환 과정에서는 천문학적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
태양광·풍력 발전 설비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연료비 같은 운영비가 거의 들지 않지만, 초기 건설비 부담이 크다.
국내에서 포화 상태에 달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태양광과 달리 대규모 개발이 가능해 정부가 향후 보급에 역점을 두려는 해상풍력의 경우 1GW 규모 단지 건설에 6조∼7조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