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28.6 °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주말 취임' 김남중 통일차관 "단절된 남북 연락채널 복원 시급"

머니투데이 정기종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21일 취임 직후 부서장 전원 참석하는 간부회의 열고 현안 점검
"남북 관계도 많이 달라져…상황 변화 맞춰 조직방향 고민해야"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통일부 차관에 김남중 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 대표를 임명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통일부 차관에 김남중 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 대표를 임명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김남중 신임 통일부 차관이 취임 직후 단절된 남북 연락채널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 국정 기조에 따른 '평화 공존'과 '평화 경제'에 방점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통일부에 따르면 21일 공식 임기를 시작한 김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서장 전원이 참석하는 간부회의를 열고, 국정기획위원회 보고 사안 등을 중심으로 통일부 최근 주요 현안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전날 늦은 시간 대통령의 재가가 이뤄지면서 이날 인사 발령 및 공식 임기가 시작됐다. 대통령실은 같은 날 김 차관을 비롯해 4개 부처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김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대통령의 국정기조에 따라 평화공존과 평화경제를 목표로 연락 채널 복원 등 시급한 사안부터 하나씩 풀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통일부가 관리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은 북한이 지난 2020년 개성공단 내 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뒤로는 판문점을 통해 가동됐다. 하지만 북한은 2023년 4월 7일 이후 통화에 응하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하루 두 차례 통화를 지속적으로 시도 중이다.

김 차관은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남북관계도 과거와 많이 달라진 만큼, 변화된 상황에 맞춰 새롭게 대북 통일 정책과 조직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지난 19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도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평화공존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침 아래 남북간 연락채널 복원과 교류협력, 이산가족 문제, 평화경제 구상의 방향성 등을 논의한 바 있다. 해당 업무보고에선 통일부 명칭을 '남북교류협력부' 또는 '남북관계부' 등으로 변경하자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관은 통일부에서 남북 교류를 비롯한 핵심 정책 실무를 주도하는 등 남북협력 전문성을 갖춘 정통 관료 출신 인사로 꼽힌다. 약 30년의 근무 기간 남북 교류·협력과 정상회담 등을 조율하며 현장과 정책을 아우르는 높은 전문성을 축적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김 차관이 주말 취임 직후 대북 통일정책 등 통일부의 역할 변화를 주문한 것은 정권 교체로 인한 내부 동요를 막고 새 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업무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기종 기자 azoth44@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종석 문가영 서초동
    이종석 문가영 서초동
  2. 2필로폰 투약 치과의사
    필로폰 투약 치과의사
  3. 3가평 산사태 사망 실종
    가평 산사태 사망 실종
  4. 4김영호 통일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5. 5셰플러 디오픈 선두
    셰플러 디오픈 선두

머니투데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