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 계룡 석축 붕괴 |
(전국종합=연합뉴스) 20일부터 21일까지 내린 비로 전국 곳곳에서 가로수가 쓰러지거나 도로에 돌이 떨어지는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석축 붕괴 등으로 주민들이 대피하기도 했으나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현재 남부지방에 호우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시간당 10∼30㎜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다.
지난 19일 오후 9시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주요 지점 누적 강수량을 보면 청양 193.0㎜를 비롯해 부여 181.0㎜, 금곡(인천) 176.5㎜, 보령 175.5㎜, 정안(공주) 168.5㎜, 광덕고개(화천) 168.0㎜, 춘장대(서천) 167.0㎜, 함라(익산) 165.5㎜, 진안 164.0㎜, 심원(고창) 163.0㎜를 기록하고 있다.
![]() |
기상 현황 |
이날 저녁부터는 충청 남부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시간당 30㎜ 내외의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이번 장맛비로 곳곳에 호우특보와 산사태 특보가 발효되고, 비 피해와 교통 통제가 이어지고 있다.
광주에서는 나무 쓰러짐, 도로 침수, 토사 유출, 맨홀 이탈, 담장 무너짐 등 총 44건의 신고가 접수돼 안전 조치를 완료했다.
전남에서도 나무 쓰러짐 8건, 주택·농경지 배수 지원 5건, 기타 5건 등 총 18건의 신고가 들어왔다.
광주에서는 하천 진출입로 336곳, 징검다리 57곳, 둔치 주차장 11개소 등 총 449개소 위험지역 통행이 통제 중이며, 전남은 특보 발효 지역의 천변도로 8곳, 둔치 주차장 21곳, 산책로 10곳, 징검다리 6곳 등의 통행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광주 무등산 1곳과 전남 5곳 국립공원의 입산이 통제됐고, 여객선 운항은 완도·목포 등 4개 항로 5척이 운항을 멈췄다.
항공기 운항은 광주공항에서 5개 항공편의 출발·도착이 지연됐고, 여수공항은 6개 항공편이 취소됐다.
![]() |
집중호우에 토사유출 |
경북에서도 전날부터 21일 오후 3시까지 35건의 비나 강풍 관련 피해 신고가 들어왔다.
봉화군 석포면에서는 불미고개 입구에서 석포하수처리장 구간 도로에는 다량의 돌이 떨어져 통행이 제한됐다. 안동 2가구 4명, 상주 2가구 2명이 경로당 등으로 미리 대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