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28.7 °
YTN 언론사 이미지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 맑은 날보다 1.3배 높다

YTN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앵커]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이 맑은 날보다 1.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빗길에 승용차 제동거리는 마른 길보다 최대 1.8배까지 길어져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SUV 차량 한 대가 가드레일을 들이받았습니다.


이번엔 승용차 4대와 화물차가 부딪치면서 차량 파편이 도로 여기저기 흩어졌습니다.

모두 빗길에 발생한 교통사고입니다.

실제로 빗길 운전의 경우 마른 노면에서 운전할 때보다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제동거리가 길어집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빗길 운전 위험성을 실험했더니 차종에 상관없이 빗길 제동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승용차는 빗길 제동거리가 마른 길의 1.8배에 달했고 화물차는 1.6배, 버스는 1.7배로 각각 제동거리가 증가했습니다.

빗길에서 교통사고가 나면 치사율도 높았습니다.


최근 3년간 빗길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592명.

치사율은 100건당 1.65명으로 나타났는데 맑은 날 교통사고 치사율과 비교하면 1.3배나 높습니다.

노면이 젖거나 습기 상태일 때 치사율은 100건당 1.9명으로 건조한 날보다 1.5배 더 위험합니다.

이에 따라 교통안전공단은 빗길에서 20% 이상 감속 운행하고 폭우가 쏟아지면 50% 이상 감속 운행하라고 조언합니다.

차간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것은 물론 타이어 마모도와 와이퍼 작동 여부 등도 점검해야 합니다.

[김혜빈 /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처 선임연구원 : 타이어 마모도가 낮게 되면 (노면과 타이어 사이 물의 막이 형성돼 접지력이 떨어지는) '수막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수막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일반적인 새 타이어에 비해 제동거리가 최대 1.5배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도 점검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운행 전엔 차량 전조등, 후미등을 점검해 상대 차량이 내 차량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신수정

디자인;박지원 권향화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YTN 유튜브 채널 구독자 500만 돌파 기념 이벤트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종석 문가영 서초동
    이종석 문가영 서초동
  2. 2필로폰 투약 치과의사
    필로폰 투약 치과의사
  3. 3가평 산사태 사망 실종
    가평 산사태 사망 실종
  4. 4김영호 통일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5. 5셰플러 디오픈 선두
    셰플러 디오픈 선두

함께 보면 좋은 영상

by

YTN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독자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