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35.8 °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롯데케미칼 水처리 사업 매각…매서워지는 구조개편 ‘메스’

헤럴드경제 서경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연면적 5775㎡ 수처리 분리막 생산공장
시노펙스멤브레인에 양도 7월 마무리
매각 금액은 비공개
자산 경량화·사업구조 개편 속도
HD현대와 석화 NCC 통합도 논의 중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내 롯데케미칼 수처리 분리만 생산공장 전경 [롯데케미칼 제공]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내 롯데케미칼 수처리 분리만 생산공장 전경 [롯데케미칼 제공]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롯데케미칼이 빠른 속도로 비핵심사업을 매각하며 에셋 라이트(자산 경량화)와 사업구조 개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두고 당면한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 상황에 더 이상 좌고우면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롯데케미칼을 시작으로 다른 석화 기업들도 사업 재편을 위한 ‘메스’를 들지 주목된다.

롯데케미칼은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내 위치한 연면적 5775㎡ 규모의 수처리 분리막 생산공장을 시노펙스멤브레인에 매각한다고 20일 밝혔다. 양사는 영업양수도계약 체결 후 주요 이행 사항을 거쳐 7월 중에 거래를 종결하기로 했다. 매각 금액은 비밀유지 의무에 따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대구 수처리 공장은 2019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을 시작해 멤브레인 UF(Ultra filtration) 기반의 하폐수 처리(생활 및 공장 폐수) 및 정수(상수, 공업용수)용 분리막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 및 신성장 사업의 육성과 강화에 지원을 집중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수처리 사업을 매각하게 됐다”며 “사업구조 개편을 통한 포트폴리오 고도화뿐만 아니라 회사의 수익성 제고 및 본원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영혁신 활동 역시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롯데케미칼은 에셋 라이트를 통한 사업구조 전환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며 약 1조70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파키스탄 소재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고순도테레프탈산) 생산 판매 자회사인 LCPL(LOTTE CHEMICAL Pakistan Limited) 보유지분 75.01% 전량을 매각해 약 979억원을 확보했으며, 인도네시아 자회사인 LCI(PT Lotte Chemical Indonesia) 지분 25%를 활용해 65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외에도 일본 소재기업 레조낙 지분 4.9%도 2750억 원에 매각했다.


지난해에는 미국 내 에틸렌글리콜(EG) 생산법인인 LCLA(Lotte Chemical Louisiana LLC) 지분 40%를 활용해 66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고, 말레이시아 소재 합성고무 생산 회사인 LUSR (LOTTE UBE Synthetic Rubber Sdn. Bhd.)을 청산하기도 했다.

또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산업 불황 타개 등을 목적으로 현재 HD현대와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나프타분해시설(NCC) 설비를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두 회사는 HD현대오일뱅크가 지분 60%, 롯데케미칼이 지분 40%를 보유한 합작사 HD현대케미칼을 통해 연간 85만톤(t)의 에틸렌을 생산하는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통합 방식으로는 롯데케미칼이 대산단지에 보유한 설비를 HD현대케미칼로 넘기고, HD현대오일뱅크가 현금 혹은 현물을 추가 출자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케미칼은 HD현대케미칼과 별도로 대산에서 연 110만t의 에틸렌을 생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롯데케미칼과 HD현대의 ‘빅딜’이 석화 산업 재편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한편, 같은 업계에 있는 LG화학도 최근 수처리 필터(워터설루션) 사업 매각을 단행한 바 있다. LG화학은 첨단소재사업본부 내 워터설루션 사업을 1조4000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의했다고 지난 13일 공시했다. 인수자는 사모펀드(PEF)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다.

LG화학은 2014년 미국 나노H2O를 인수한 뒤 청주공장에 양산 설비를 구축하며 바닷물을 산업용수로 정화하는 역삼투막(RO 멤브레인)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현재 시장 점유율은 일본 도레이에 이어 글로벌 2위다. 2023년 청주공장을 증설하며 향후 5년 내 사업을 2배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본업인 석유화학 분야의 부진이 길어지면서 재무구조 강화에 힘쓰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진숙 국무회의 배석 제외
    이진숙 국무회의 배석 제외
  2. 2신지 문원 결혼
    신지 문원 결혼
  3. 3헤이지니 둘째 출산
    헤이지니 둘째 출산
  4. 4오겜3 노재원
    오겜3 노재원
  5. 5박정훈 대령 항소 취하
    박정훈 대령 항소 취하

헤럴드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