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2.5 °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맞벌이 가구 4년만에 줄었다…고용 한파 청년·고령층 감소세 뚜렷

뉴시스 임하은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통계청, 작년 하반기 맞벌이·1인 가구 고용 현황
미성년 자녀 둔 부부 10쌍 중 6쌍 맞벌이…역대 최고
1인 취업가구 수도 역대 최대…여성 견인·고령화 영향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13일 인천 중구 월미공원에서 열린 프라임·명지 한마음 가족운동회에서 어린이들이 엄마, 아빠와 게임을 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2025.06.13.  amin2@newsis.com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13일 인천 중구 월미공원에서 열린 프라임·명지 한마음 가족운동회에서 어린이들이 엄마, 아빠와 게임을 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2025.06.13. amin2@newsis.com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포스트 코로나의 고용회복 효과가 사라지면서 지난해 하반기 우리나라 맞벌이 가구 비중이 4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맞벌이 가구 감소는 고용여건이 취약한 청년층과 고령층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미성년자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 비중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발표했다.

전국 맞벌이 가구 수는 총 608만600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611만5000가구)보다 2만9000가구 줄어든 수치다.

전체 부부 가구 중 맞벌이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8.0%로, 2023년(48.2%) 대비 0.2%포인트(p) 하락했다.

맞벌이 가구 수와 비중은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 회복에 따른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고용확대 효과 효과가 점차 소멸하면서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며 "맞벌이 가구는 남편과 아내 모두 취업한 가구를 의미하는 만큼 남녀 고용 상황 변화 모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과 고령층에서 맞벌이 감소가 두드러졌다.

30대(61.5%)와 40대(59.2%)에서 맞벌이 비중이 가장 높았고 각각 전년 대비 2.6%p, 1.3%p 상승했다.


반면 15~29세 청년(-2.2%p)과 60세 이상(-0.6%p)에서는 맞벌이 가구 비중이 1년 전보다 하락했다. 청년층과 고령층의 고용 불안정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맞벌이 가구 중에서도 같은 산업이나 직업에 종사하는 부부 비중은 전년과 비슷했다.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비중은 35.3%,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비중은 37.7%로, 각각 전년과 같거나 소폭 상승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76.5%)과 숙박·음식점업(65.3%)에서, 직업별로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75.4%),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52.1%)에서 같은 직군의 맞벌이 비율이 높았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신지 문원 재산 상속 논란
    신지 문원 재산 상속 논란
  2. 2홍명보 즐거운 한일전
    홍명보 즐거운 한일전
  3. 3제니 발가락 신발
    제니 발가락 신발
  4. 4손흥민 토트넘 훈련
    손흥민 토트넘 훈련
  5. 5아스트로 윤산하 카멜레온
    아스트로 윤산하 카멜레온

뉴시스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