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19.8 °
뉴스핌 언론사 이미지

[종합] 尹 "국회 계엄 해제 의결 미흡"…취재진에 "지지자 보게 가로막지 말라"

뉴스핌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6일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절차가 미흡했지만 민정수석이 받아들이는 게 좋겠다고 해 정식 계엄 해제 전 국회 경내로 들어간 군의 철수를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언론사가 설치한 포토라인에서 그동안 침묵했던 윤 전 대통령은 취재진의 질문에는 여전히 답하지 않으면서 "지지자들을 보게 앞을 가로막지 말아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이날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7차 공판을 열었다.

이날 증인으로 나온 김철진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4일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군인 1000명을 보냈어야 한다"며 국회에 투입한 병력이 부족하다고 말하는 걸 들었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7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06.16 photo@newspim.com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7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06.16 photo@newspim.com


계엄 당시 김 전 장관을 지근거리에서 수행해 온 김 전 보좌관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4일 오전 1시16분경 국방부 전투통제실에 방문해 약 30분간 결심지원실에서 김 전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최병옥 국방비서관과 회의했다고 진술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이 전투통제실에 들어와 김 전 장관에게 '국회에 몇 명이나 투입했느냐'고 물었고 김 전 장관이 '500여명 정도'라 대답하자 '거봐, 부족하다니까. 1000명을 보냈어야지. 이제 어떻게 할 거야'라고 묻는 걸 들은 사실이 있다고 했다.


김 전 보좌관은 이후 윤 전 대통령이 찾은 '국회법 법령집'을 구해서 전달했고 윤 전 대통령이 '셋만 남고 나가달라'고 말해 결심지원실에서 나왔다고 했다.

김 전 보좌관은 윤 전 대통령이 돌아간 후 김 전 장관이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응 상원아, 이제 어떻게 하냐'는 취지로 통화하는 것도 들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김 전 장관이 이전부터 '응 상원아'라며 전화 받는 것을 2~3번 정도 들었고 당시에는 누구인지 몰랐지만 장군 진급 발표 이후 노상원 예비역 장군이 인사에 개입했다는 소문이 들렸다"며 "장관이 통화하는 대상이 노 전 사령관이 아닐까 의구심을 가졌다"고 말했다.


또 검찰에서 '나중에 노 전 사령관이 이 사건에 개입된 것과 지난해 12월 3일 오전 장관 공관에 방문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장관이 통화하던 게 노 전 사령관이 맞는구나 생각했다'고 진술한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반대신문 과정에서 "김 전 장관은 그런 대화가 없었다고 진술했다"며 김 전 보좌관의 기억이 정확한지 재차 물었다.

이에 김 전 보좌관은 "저는 보고 들은 것만 진술했다"라며 "제 기억이 정확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보좌관에 대한 증인신문 종료 후 발언 기회를 얻어 "대통령이 국방부 지하에 있는 전투통제실에 왜 갔나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며 "국방부 장관과 계엄사령관을 불러 의견을 들어보고 계엄을 해제하는 수순에서 늦은 시간까지 고생한 간부들을 격려나 해 주고 와서 의견을 들어야겠다 해서 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회의 (계엄 해제) 절차가 미흡하지만 그 뜻을 존중해서 계엄을 해제하겠다고 발표를 할 건지, 아니면 이 정도의 절차 미비는 그냥 무시하고 계엄 해제를 할 건지 그 생각이 들어서 국회법(법령집)을 가져오라고 했다. 그런데 시간이 꽤 걸렸고 집무실로 돌아가 민정수석을 불러 법률 검토를 시켰는데 민정수석이 '하자는 있지만 그냥 받아들이는 게 좋겠다'고 해 계엄 해제 대국민 브리핑 문안을 만들라고 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가만히 생각해 보니 일단 군을 빨리 국회 경내에서 내보내야 하는데 그 말을 안 하고 나온 것 같아서 장관과 계엄사령관을 다시 불러 '일단 국회 경내에서 무조건 밖으로 빼라' 그렇게 지시하고 국무회의 소집 전이라도 문안이 다 만들어지면 계엄 해제 브리핑을 할 것이라고 알렸다"며 "전체 흐름에 대해 이런 말씀을 드리고 싶었다"고 부연했다.

김 전 보좌관에 이어 증인으로 나온 이재식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차장(준장)은 "언론에선 계엄사령부 기획조정실장이라고 나오지만 당시 정식으로 임명받은 적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방적 조치로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 있느냐'는 검찰 질문에 "요건에 명확히 부합하는 사후 조치로 계엄을 선포하는 것"이라며 "예방적 조치로 선포하면 국민의 기본권이 제한되고 권력이 남용될 수 있다"고 답했다.

재판부는 오는 23일 다음 공판에서 이 차장에 대한 증인신문을 계속하기로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법원 출석과 퇴청 때 '특검에서 소환 조사를 요구하면 응할 건가', '오는 19일 경찰의 출석 요구도 거부하나', '경찰 조사를 서면이나 제3의 장소에서 받고 싶다는 이유가 있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오전 재판이 끝나고 법원을 나설 때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던 지지자들을 향해 손 인사를 한 뒤 "저 사람들을 좀 보게 이 앞을 가로막지 좀 말아달라. 조금만 앞으로 (와 달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또 오후 재판 종료 후 취재진의 질문에도 대답하지 않고 "좀 빠져달라"며 지지자들을 보며 미소 짓고 손 인사를 한 뒤 차를 타고 법원을 빠져나갔다.

shl22@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장우 카레집 폐업
    이장우 카레집 폐업
  2. 2전국 눈비 소식
    전국 눈비 소식
  3. 3가자지구 구호선 나포
    가자지구 구호선 나포
  4. 4전진 류이서 2세
    전진 류이서 2세
  5. 5전진 류이서 2세 계획
    전진 류이서 2세 계획

뉴스핌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