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데이에서 시즌 목표를 밝히는 당구여제 김가영 |
(서울=연합뉴스) 이대호 기자 = 2024-2025시즌 프로당구 LPBA에서 7연속 우승이라는 믿기 힘든 업적을 달성한 김가영(42·하나카드)을 두고 당구 팬 사이에서는 '남자부 PBA에 도전해보라'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김가영은 여자부에서 워낙 압도적인 성과를 남긴 데다가 실제 기량도 남자 선수 평균을 향해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가영은 지난 1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2026시즌 PBA-LPBA 미디어데이에서 "나는 아직 PBA 투어에 참가하기에는 수준 미달이다. 현재로서는 전혀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PBA 사무국에서 특별 출전을 허락하고, 기량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도전할 생각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가영은 "만약 애버리지 1.5 이상을 유지하고 출전을 허락한다면 생각해볼 것"이라고 답했다.
![]() |
지난 시즌 월드챔피언십 우승으로 7연속 우승을 달성한 김가영 |
3쿠션 당구에서 애버리지(Average)는 한 큐당 득점을 의미해 남녀 구분 없이 선수 기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원래 포켓볼에서 세계 정상급 기량을 뽐내던 김가영은 프로당구 무대에 뛰어들어 매년 꾸준히 애버리지를 올려 왔다.
프로에서 첫 시즌인 2019-2020시즌은 애버리지가 0.860(전체 2위)이었다가 이듬해 0.899로 올랐고, 2021-2022시즌은 1.018을 남겨 처음으로 1을 넘겼다.
2023-2024시즌 애버리지 1.033으로 전체 1위에 올랐던 김가영은 9개 투어 대회 가운데 7개 대회를 독식한 2024-2025시즌 애버리지를 1.208까지 올렸다.
지난 시즌 LPBA 평균 애버리지(0.710)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치인 것과 동시에, 이 부문 지난 시즌 2위인 스롱 피아비(우리금융캐피탈·애버리지 1.001)보다 20%가량 높은 득점력이다.
김가영이 7연속 우승을 거둔 가장 직접적인 증거인 셈이다.
![]() |
공을 응시하는 김가영 |
LPBA에서는 더 이룰 게 없어 보이는 김가영은 새로운 목표로 애버리지 1.5를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