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24.1 °
JTBC 언론사 이미지

윤건영 "윤석열, 급하게 용산 이전하며 청와대 지하벙커 뜯어가"

JTBC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청와대 지하벙커 구축하는 데 1년…위기관리센터 이원화될 수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뒤 차량으로 향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뒤 차량으로 향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집무실을 용산 대통령실로 옮기는 과정에서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갔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의원은 오늘(10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윤석열 씨가 용산 이전을 급작스럽게 하면서 용산에도 지하 벙커가 필요했다"며 "주요 설비를 못 구하니까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서 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청와대) 지하 벙커를 정상적으로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무엇을 뜯어갔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며 "참고로 (예전에) 청와대 지하 벙커를 구축하는 데 한 1년 정도 시간이 걸렸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관리센터를 이원화해야 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현충일인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인근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연합뉴스〉

현충일인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인근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연합뉴스〉


청와대 복귀 시기에 대해선 "내부 소식통에 확인한 바로는 한 달에서 석 달 정도가 소요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윤 의원은 "(청와대) 본관, 대정원, 영빈관 등 개방된 곳은 아무래도 보다 강한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며 "대통령 집무실과 참모들 업무 공간인 여민관, 경호처, 지하 벙커 등 개방하지 않은 곳은 상대적으로 보안 조치가 덜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여민관 같은 경우에 안전진단을 받으면 위험등급이 나올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굉장히 오래된 건물"이라며 "관저 또한 개보수 이슈가 있다. 리모델링하느냐에 따라 청와대 입주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릴 수 있다"고 했습니다.

윤 의원은 '하는 김에 손을 좀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진행자의 물음에 "그렇게 되면 100일 이내 입주가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100일 이내에 하겠다는 발표를 보면 리모델링의 수준을 그렇게 많이 잡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관람객들이 대통령 관저를 관람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관람객들이 대통령 관저를 관람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관람객에 공개된 청와대 관저를 두고는 "이 대통령 내외가 살 수 있을까, 최종 판단은 새 정부에서 하겠지만 저라면 다른 곳으로 이사할 것 같다"며 "아무리 관저지만 살림집인데, 너무 많이 공개돼 버렸다"고 언급했습니다.


아울러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준다는 취지에도 반한다"며 "예를 들어 이 대통령 내외가 관저로 들어가게 된다면 경호 때문에 북악산을 통제할 수밖에 없다"라고도 했습니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 때도 관저를 장기적으로는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동선을 개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며 "'광화문 시대'라고 해서 청사를 광화문 청사로 옮기는 것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유력한 안으로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이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안가 주변이 관저로 유력한 부지라고 생각한다"며 "한남동 관저는 교통 통제라든지 헬기 착륙이 불가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도 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JTBC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