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24.1 °
이데일리 언론사 이미지

“봉준호 감독을 문체부 장관으로”…국민추천제 직접 해봤습니다

이데일리 이재은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인재 추천
이재명 대통령 SNS, 이메일로도 접수가능
대상은 장·차관 등 ‘대통령 임명’ 주요 공직
李, 후보시절 “주요공직자 국민추천제 활성화”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봉준호 감독을 이재명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추천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으로부터 고위급 인사에 대한 추천을 받겠다고 10일 밝힌 가운데 이날부터 일주일간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등을 통해 인재를 추천할 수 있게 됐다. 접수처 중 하나인 이 대통령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만 댓글 800개 이상이 달린 상황에서 기자도 직접 국민추천제에 참여해봤다.

지난 2월 20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열린 영화 ‘미키17’ 기자간담회에서 봉준호 감독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월 20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열린 영화 ‘미키17’ 기자간담회에서 봉준호 감독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날 SNS에 ‘국민과 함께 국민주권정부의 문을 엽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국민추천제 참여 방법을 공유했다. 추천 대상은 장·차관, 공공기관장 등 대통령이 임명 가능한 주요 공직으로 참여 기간은 오는 16일까지다.

참여 희망자는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에서 추천자의 이름 등 정보를 기입하거나 이 대통령 SNS 계정 또는 국민추천제 공식 이메일에 글을 보내는 방식으로 인재를 추천할 수 있다. 필수 입력 형식이 갖춰진 국민추천제 누리집과는 달리 SNS, 이메일 접수 시에는 자신의 기본정보, 추천하려는 인재의 직위와 정보, 추천 사유 등을 빠짐없이 써내야 한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기자도 국민추천제에 참여해 보기로 했다. 고민 끝에 떠올린 인물은 봉준호 감독이었다. 봉 감독은 지난 2019년 영화 ‘기생충’으로 한국 영화 최초로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과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감독상 등 4관왕을 석권하며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을 끌어올린 대표적 문화예술인이다.

1990년대부터 영화 연출을 시작해 ‘살인의 추억’, ‘괴물’, ‘마더’, ‘설국열차’ 등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 왔으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문화예술으로서 창의성과 사회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에서 ‘국민추천 참여하기!’ 클릭 후 가장 먼저 선택하게 되는 ‘추천형태’ 항목. (사진=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갈무리)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에서 ‘국민추천 참여하기!’ 클릭 후 가장 먼저 선택하게 되는 ‘추천형태’ 항목. (사진=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갈무리)


추천인을 정했다면 이제는 참여 방법을 택할 차례다.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또는 이 대통령 SNS나 공식 이메일 등 세 가지 경로 중 하나를 정해 추천할 수 있다. 기자는 국민추천제 누리집을 통해 추천을 진행해 봤다.

누리집 첫 화면에서 상단 배너의 ‘추천하기’ 속 ‘국민추천 참여하기!’를 클릭하면 자신을 추천할 것인지 다른 사람을 추천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돼 있다. ‘다른 사람을 추천합니다’를 택하면 직위 또는 전문분야 중 어떤 형태로 추천할지 고를 수 있다. 직위는 크게 정무직, 개방형 직위, 공공기관장 및 임원으로 분류되며 전분 분야는 감사·회계·통계, 경제·금융, 교육, 노동 등을 포함한 31개로 나뉜다.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에서 ‘국민추천 참여하기!’ 클릭 후 각종 인증을 거치면 활성화되는 ‘추천정보 입력’ 칸. (사진=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갈무리)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에서 ‘국민추천 참여하기!’ 클릭 후 각종 인증을 거치면 활성화되는 ‘추천정보 입력’ 칸. (사진=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누리집 갈무리)


이후 개인정보 수집 등 동의 과정과 본인 인증을 마치면 ‘추천정보 입력’ 칸이 활성화된다. 이 입력란은 본인 또는 타인, 타인 중에서는 직위 및 전문분야 중 자신이 원하는 선택지를 고른 뒤 공통으로 나오는 페이지로 세부 내용은 ‘추천분야’, ‘추천받는 사람’, ‘추천하는 사람’으로 구성돼 있다.


‘추천정보 입력’ 항목 참고 사항으로는 “전화번호, 전자우편(이메일) 등이 기재돼 있지 않을 경우 추천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와 “이력서 등을 추가할 경우 적합성 검토 등을 거쳐 국가인재DB에 수록돼 공직후보자로 관리·추천된다”는 등 내용이 있다.

추천 분야를 비롯해 추천받는 사람의 성명, 성별, 추천사유와 추천인의 성명 및 휴대전화, 이메일은 모두 필수 입력사항이다. 추천받는 사람의 학력 및 경력은 1000자 이내로 입력해야 하며 추천사유는 약 350자 이내로 적게 돼 있다.

각 항목을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누르면 “추천이 접수됐다”는 내용이 담긴 화면으로 전환되며 “국민추천제 등록이 완료됐다”는 인사혁신처의 안내 문자가 휴대전화로 발송된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이데일리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