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19.9 °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코로나로 취약층 빚 '눈덩이'…'배드뱅크'로 탕감될까

연합뉴스TV 장한별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앵커]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 공약 중 하나는 취약계층의 채무 조정이었는데요.

이를 위해 부실자산을 사들여 정리하는 이른바 '배드뱅크' 설립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장한별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급격히 불어난 대출 채무.


특히 50조원 규모에 육박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대출은 오는 9월 말 만기를 앞두고 있어, 취약계층 채무 탕감을 위한 새 정부표 '배드뱅크' 설립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배드뱅크는 정부 재정을 활용해 부실자산을 사들여 관리·정리하는 부실채권전담기관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대출 탕감, 조정 공약 실현 방안이 될 전망입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캠코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는 새출발기금을 포함해 과거 지난 정부들도 꾸준히 취약계층 빚 탕감 정책을 시행해왔으나 결과적으로 채무 정리 비율은 크지 않았습니다.


반면 이재명 정부표 배드뱅크는 일정한 요건을 갖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도 채권 소각 대상에 포함할 수 있어 더 적극적인 채무 감면을 시행할 것이란 예측이 나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계엄 이후 자영업자 부채'까지 채무조정 대상에 포함하겠다고 언급했던 만큼, 새출발기금보다 더 포괄적인 시기의 채무 탕감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관건은 재원 조달입니다.


은행권 등 민간 금융사 공동 출자 방식이 점쳐지지만, 2차 추경 편성에 속도가 붙는 가운데 확대 재정에 따른 부담도 있습니다.

이미 캠코의 부채 비율은 2년 만에 60%포인트(p) 이상 증가해 200%를 돌파한 상황.

아울러 성실 상환 차주에 대한 역차별 논란이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불거질 수도 있습니다.

<강인수/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탕감해주는 것 자체에 대해서 도덕적 해이 문제도 있고, 여러가지 형평성 문제도 있고. 부채 문제 해소에 있어서 원칙을 가지고 접근하는 게 추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길이 아닌가…"

금융당국은 우선 장기 소액 연체 채권 규모를 파악하고 지원 대상 등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장한별입니다.

[영상편집 진화인]

[그래픽 방명환 우채영]

#대출 #이재명 #채무 #코로나19 #소상공인 #배드뱅크 #빚탕감 #취약계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장우 카레집 폐업
    이장우 카레집 폐업
  2. 2전국 눈비 소식
    전국 눈비 소식
  3. 3가자지구 구호선 나포
    가자지구 구호선 나포
  4. 4전진 류이서 2세
    전진 류이서 2세
  5. 5전진 류이서 2세 계획
    전진 류이서 2세 계획

함께 보면 좋은 영상

연합뉴스TV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독자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