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 기대감을 높여가고 있는 'K-조선'이 협력 포트폴리오를 넓혀가고 있다.
관세 전쟁으로 표출된 미중 패권전쟁의 흐름 속에서 군함, 선박 유지·보수(MRO) 사업을 넘어 항만 크레인 사업까지 협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지난 16일 미국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대표와 만나 한·미간 조선산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관세 전쟁으로 표출된 미중 패권전쟁의 흐름 속에서 군함, 선박 유지·보수(MRO) 사업을 넘어 항만 크레인 사업까지 협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
HD현대삼호의 항만 크레인 [사진=HD현대삼호] |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지난 16일 미국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대표와 만나 한·미간 조선산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회담에서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적 공급 문제와 관련, HD현대의 계열사인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하며 공급망 확대를 위한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항만 크레인은 항구에서 컨테이너나 화물을 배에 싣거나 내릴 때 필요한 장치로 크레인의 종류와 크기가 다양하지만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크기가 커지며 항만 크레인도 함께 커지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과 그리어 USTR 대표의 회동에서 항만 크레인이 언급된 것은 미중 경제 갈등이 배경에 있다. 현재 미국 내 항만 크레인은 중국이 약 8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 정부는 지난해 5년간 200억 달러(한화 약 28조원)를 투자해 자국 항만에 설치된 중국산 크레인을 모두 교체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고 지난 4월 USTR은 중국산 항만 크레인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00%로 상향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미국에서 중국산 항만 크레인이 모두 교체될 경우 한국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국내 항만 크레인 사업은 HD현대가 주도하고 있다.
HD현대에서는 HD현대삼호가 항만 크레인을 제작한다. 정 수석부회장이 그리어 대표에게 HD현대삼호의 역량을 강조한 이유다. HD현대삼호는 지난 2020년 부산신항 7부두에 크레인 9기를 공급했다. 중국산 크레인이 장악한 시장에서 약 20년만의 공급이었다.
![]() |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미국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대표와 만나 한·미간 조선산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HD현대] |
항만 크레인 사업 자체는 '사이즈'가 크지 않지만 선박, 군함, MRO 사업에서 항만 크레인까지 사업 포트폴리오가 넓어지며 'K-조선'의 사업 영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항만 크레인 외에 '핵심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군함 건조 등에 대한 협력 속도도 점차 결과물을 낼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그리어 대표의 방한 이전인 지난달 30일에는 존 펠란(John C. Phelan) 미국 해군성 장관이 한국을 찾아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사업장 현장을 직접 둘러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