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0.8 °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안덕근 "美 템플릿 따라 관세협상…산업협력은 별도 논의"[일문일답]

뉴시스 여동준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안덕근, 그리어 USTR 면담 후 기자간담회
"韓, 무역균형 문제 넘어 산업협력 파트너"
"美, 정치상황 이해…중요 내용 양당 설명"
"협상시한 맞추려 노력…조정 있을 수도"
[세종=뉴시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을 통해 지난 1일 개최된 기술협의 경과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양국 입장을 교환했다.(사진=산업부 제공)

[세종=뉴시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을 통해 지난 1일 개최된 기술협의 경과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양국 입장을 교환했다.(사진=산업부 제공)



[서귀포=뉴시스]여동준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부처로 구성된 대표단이 다음주부터 미국을 방문해 관세 협상을 위한 제2차 기술협의를 진행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관세 협상은 6개 분야에 대한 템플릿으로 진행하고, 다른 많은 국가들은 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는 할 수 있는 조선·에너지·첨단산업분야 등 산업협력은 따로 패키지를 만들려 한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지난 15일부터 이틀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진행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양자 회담을 진행한 뒤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과 그리어 대표는 지난달 24일 미국에서 진행된 한·미 2+2 통상 협의 이후 약 3주만에 다시 만나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진행된 실무협의에 대해 중간 점검을 진행했다.

우리나라와 미국은 향후 ▲균형무역 ▲비관세 장벽 ▲경제안보 ▲디지털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실시하게 된다.

[세종=뉴시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을 통해 지난 1일 개최된 기술협의 경과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양국 입장을 교환했다.(사진=산업부 제공)

[세종=뉴시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을 통해 지난 1일 개최된 기술협의 경과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양국 입장을 교환했다.(사진=산업부 제공)



다음은 안 장관과의 일문일답.

-디지털 교역과 상업적 고려에는 어떤 이슈가 해당하는가.


"디지털 교역의 경우 구글맵 같은 사안이 포함된다. 상업적 고려 같은 경우 현재까지는 구체적으로 안이 제기되는 바는 없으나 다음주 기술협의에 들어가면 구체적 사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그리어 대표가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 우리 조선업계를 만났다. 조선업 분야 협력이 가시권인가.

"조선업 협력 문제는 USTR에서 이 사안을 협상과 연계짓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워낙 중요한 사안이다보니 미국 상무부를 비롯한 모든 부처가 관심을 갖고 있다. 저희는 USTR에 향후 조선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우릭 도와주겠다고 얘기했고, 미국 측도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다만 구체적인 논의를 한 바는 없다."


-우리나라는 조선이나 반도체 등 산업 분야에서 협상에 유리한 여건이라는 견해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와 달리 단순히 무역균형 문제만을 갖고 (무역적자를) 적절히 줄이는 선을 넘어서 산업협력을 할 수 있는 중요 파트너 중 하나다. 조선뿐 아니라 에너지, 반도체 등 첨단 산업과 미국 전략 사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사업협력을 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는 점이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자사이라고 본다."

-미국 정부가 우리 조선업계와 직접 소통하는 느낌이 든다. 조선협력 관련 우리 정부의 역할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뉴시스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