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구글이 한국의 고정밀 지도를 외국에 반출하는 걸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원래 정부가 사흘 뒤까지 결정해야 했지만, 이걸 8월로 미뤘습니다. 구글의 이런 요청은 벌써 세 번째인데요. 트럼프 정부가 한국의 지도 반출 제한을 대표적인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지목하며 관세 협상과 연계하고 있어서 정부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엄민재 기자가 구글의 담당 부사장을 단독 인터뷰해서, 그 속내를 들어봤습니다.
<엄민재 기자>
구글맵에 익숙한 외국 관광객들은 한국에서는 길 안내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당황하곤 합니다.
[엘라/관광객 : 경로를 보여주긴 하는데, 여기 보면, '버스'랑 '도보'라고만 나와요. 그런데 도보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어요.]
여행 계획에 차질을 빚는 일도 있다고 합니다.
[데일리 가족/관광객 : 우리가 한국에 오기 전에 (방문할) 모든 장소를 구글 지도에 미리 저장해뒀거든요.]
1대 5천 축적의 고정밀 지도가 제공되면 이런 불편은 사라진다는 게 구글의 논리입니다.
한국을 방문한 크리스 터너 구글 부사장은 SBS와의 인터뷰에서, 고정밀 지도 반출은 한국에도 커다란 기회가 될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크리스 터너/구글 부사장(지도 정책 총괄) : 한국은 추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구글 지도가 도입되면) 향후 2년간 68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할 수 있고 이는 226억 달러(32조 원)의 자금이 유입되는 효과가….]
구글이 요청한 지도는 이미 보안시설에 가려져 있는 것이고, 구글어스 위성 영상도 추가로 보안 처리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