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0.8 °
연합뉴스 언론사 이미지

미중 관세폭탄 일단 '리셋'…세계경제 상처 남긴 뒤 '숨고르기'

연합뉴스 이봉석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전면전 양상 번졌던 4월 이후 관세 대부분 석 달간 유예
2월 美포문과 함께 시작…양국 관세 100% 넘으며 무역단절 수준 치닫기도
지난달 말 갑자기 '대화 무드'…韓 등과 무역협상 조기타결 가능?
미국과 중국 국기.[중국 환구망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과 중국 국기.
[중국 환구망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에 부과했던 폭탄 수준의 상호관세를 약 석 달간 대폭 낮춘 채 무역 협상을 이어가기로 전격 합의했다.

미중이 지난 주말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첫 공식 협상 끝에 관세전쟁이 사실상 전면전 양상으로 번졌던 지난 4월 이후 부과된 관세 대부분을 일단 유예하기로 한 것이다.

이로써 미국이 중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은 30%, 중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10%로 당분간 메겨진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과 함께 시작된 미중 간 무역전쟁이 글로벌 경제에 깊은 상처를 남긴 뒤 숨 고르기에 들어간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무역회담 첫날인 지난 10일 이후 "우호적이지만 건설적인 형태로, 전면적인 리셋(reset·재설정) 협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 트럼프, 취임하자마자 '포문'…지난달 전면전 양상으로


재집권에 성공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의 추가 관세를 예고하면서 집권 1기에 이은 또 다른 무역전쟁을 예고했다.

집권 2기에 돌입한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포문을 연 것은 지난 2월 모든 중국산 철강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그러자 중국도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부과하며 맞불을 놨다.

한 달 뒤 미국이 기존 대(對)중국 관세에 10%를 추가해 총 20%로 올리자 중국도 며칠 뒤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중 관세전쟁은 확전 양상으로 접어들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관세전쟁이 전면전 양상으로 접어든 것은 지난 4월로 들어서면서다. 양국은 보복 차원에서 하루가 멀다고 상대국에 대한 관세율을끌어 올렸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연합뉴스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