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4.5 °
뉴스1 언론사 이미지

대중 관세 30%·대미 관세 10%로 인하…"3개월간 후속협상"(종합)

뉴스1 권영미 기자 정은지 특파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미중 대표단, 10~11일 제네바 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14일부터 나란히 115%p씩 인하

베선트 재무·허리펑 부총리 중심의 후속 협상체제 구축…필요시 실무작업반 구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기 집권 당시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기 집권 당시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베이징=뉴스1) 권영미 기자 정은지 특파원 = 미국과 중국이 첫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상대국 제품에 대해 부과했던 고율의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10~11일 이틀간 중국측과 협상을 벌인 미국측 수석 대표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향후 90일 동안 대중국 추가 관세를 기존 145%에서 30%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에 상응해 중국 정부도 같은 기간 미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에서 10%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양국 모두 관세를 115%포인트(p)씩 유예한 셈이다. 이는 오는 14일부터 적용된다.

양측이 동시에 발표한 공동성명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무역 긴장을 완화하고 양국이 이견을 해결할 수 있는 3개월의 시간을 더 주기 위해 서로의 제품에 대한 관세를 잠정적으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양국 간 경제무역 관계가 양국 및 세계 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인지해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이며 상호 이익이 되는 양자 경제무역 관계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어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협상이 양측의 경제·무역 분야 관심사 해결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하며, 상호 개방 및 지속적 소통, 협력 및 상호 존중의 정신 하에 관련 작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향후 추가 협상에 대해 "중국 측 허리펑 부총리, 미국 측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 주도로 협상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했다"며 "협상 장소는 중국·미국 또는 제3국에서 진행 가능하다"고 밝혔다.

양측은 또한 실무급 협의를 위해 필요시 세부 경제무역 현안에 대한 작업반을 구성하기로 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협상 대표들은 공동 성명 발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양쪽이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고 균형잡힌 거래를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어느 쪽도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무역을 원한다. 더 균형잡힌 거래를 원한다. 양측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이 제약 및 철강과 같은 5개 또는 6개의 전략적 산업과 공급망 취약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은 이 부문의 공급망 독립성과 동맹국으로부터의 신뢰할 수 있는 공급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은 그 부문에서 '전략적 재조정'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는 "중국 모든 상품에 대한 미국 관세 30% 가운데 20%는 올해 초 중국에 부과한 펜타닐 관세 20%"라며 "이 관세는 여전히 유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부과된 품목별 관세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 일부 상품은 여전히 높은 관세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뉴스1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