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33.5 °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의정갈등 장기화에 국립대병원 전임의, 정원 대비 24%에 그쳐

헤럴드경제 이태형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서울대병원 321명 정원에 123명 근무
전공의 공백에 따른 업무 부담 영향도
[123RF]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의정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대형병원의 전임의들 공백도 계속되고 있다.

1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임직원 수를 공시한 국립대병원 8곳의 전임의 숫자는 정원 대비 23.7%에 그치고 있다.

8개 병원 전체 정원 892명 중 211명만 근무하고 있다.

해당 병원 8곳은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전남대병원, 충남대병원, 충북대병원이다.

부산대병원과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 등 3곳은 전임의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의사직 인원 전체를 공시해 분석에서 제외했다.

병원별로 보면 서울대병원은 전임의 정원이 321명이지만 1분기 기준 38%인 123명만 근무 중이다. 분당서울대병원도 전임의 숫자가 62명으로 정원(177명)의 35%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경우 전임의 숫자나 정원 대비 비율이 한 자릿수에 그친다. 충북대병원과 강원대병원은 전임의 정원이 각각 15명과 7명이라고 공시했는데 현재는 한 명도 없다.

사립대병원도 마취과, 영상의학과 등 특정 과목을 중심으로 사정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시내 5대 상급종합병원인 이른바 ‘빅5’에 속한 병원 관계자는 “의정 갈등 전 300명이 넘던 전임의가 현재는 200명도 안 되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전임의’는 전공의(인턴·레지던트)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 병원에서 세부 과목 수련을 이어가면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다. 임상강사나 펠로(fellow)로도 불린다.


주로 1년 단위로 병원과 계약을 맺고 근무한다. 통상 전공의 수련 후 교수가 되기 전 단계로, 교수를 도우며 전공의를 지도하는 중간 역할을 한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후 전임의들도 투쟁에 동참하기 위해 임용을 잇달아 포기하면서 의료공백이 더욱 심화한 바 있다.

이후 주요 병원을 중심으로 일부 전임의들이 속속 계약하고 지난 4월 제대한 군의관, 공보의 일부가 전임의로 들어오기도 했지만 여전히 의정 갈등 전이나 정원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헤럴드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