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각종 의혹과 민원 공세에 휘말리며 전방위적 위기를 맞은 가운데 일부 누리꾼들이 백 대표를 겨냥한 ‘시추 놀이’가 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한 사람이 72건의 민원을 접수한 사실이 확인돼 민원 접수와 고발이 일종의 놀이 문화로 변질됐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시추 놀이는 땅에서 석유를 파내는 것처럼 특정인의 과거 행적을 캐내 민원과 신고를 넣는 인터넷 놀이 문화다. 최근에는 무덤을 파낸다는 뜻의 ‘파묘’로 불리기도 한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디시인사이드 ‘백종원의 골목식당 갤러리’에는 지난 3월부터 백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파헤쳐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넣었다는 인증 글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대부분 백 대표가 출연한 방송 영상 등에서 찾은 위법 소지를 증거 자료 제출해 관할 기관에 조치해달라는 식이다.
![]() |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가 2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더본코리아 기업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4.10.28 (사진=뉴스1) |
시추 놀이는 땅에서 석유를 파내는 것처럼 특정인의 과거 행적을 캐내 민원과 신고를 넣는 인터넷 놀이 문화다. 최근에는 무덤을 파낸다는 뜻의 ‘파묘’로 불리기도 한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디시인사이드 ‘백종원의 골목식당 갤러리’에는 지난 3월부터 백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파헤쳐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넣었다는 인증 글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대부분 백 대표가 출연한 방송 영상 등에서 찾은 위법 소지를 증거 자료 제출해 관할 기관에 조치해달라는 식이다.
실제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몇몇 사례들이 이곳에서 시작됐다.
게시판엔 지난 3월 13일 더본코리아가 지역 축제에서 농약 분무기에 사과주스를 담아 살포해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자 일부 누리꾼이 백 대표가 ‘고기를 구울 때 농약 분무기로 소스를 뿌리자’고 아이디어를 내는 장면을 2023년 유튜브 영상에서 찾아냈고, 국민신문고로 경찰에 수사를 요청한 것이다.
이밖에 된장과 간장 생산 관련 농지법 위반과 원산지 허위 표시 의혹, ‘덮죽’ 제품과 ‘쫀득 고구마빵’ 제품의 허위 광고 의혹 등도 모두 해당 게시판의 시추 활동에 따라 당국이 사실관계 확인에 나선 사례다.
누리꾼들이 경쟁적으로 시추에 가담하며 ‘스타 저격수’까지 등장했다.
‘농약통백셰프’라는 닉네임의 누리꾼은 지난 3월 28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민신문고에 백 대표와 더본코리아에 대한 민원 72건을 제출했다고 스스로 인증했다.
더본코리아가 지역 축제에서 생고기를 상온에 방치한 채 운반했다거나, 산업용 금속으로 된 조리도구를 사용했다는 등의 의혹은 모두 농약통백셰프가 제기했다.
그는 “아직도 프레임 단위로 봐야 할 영상이 너무 많다”며 컴퓨터에 저장된 백 대표 영상 200여 개의 목록을 공개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농약통백셰프의 정체를 두고 그가 프랜차이즈 점주이거나 주주, 경쟁사 직원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그는 자신에 대해 “보유 주식도 없고, 프랜차이즈 경험도 없는 집구석 백수”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른 분들이 하는 내용이 재밌어서 ‘나도 한번 분석해 보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다”며 “오로지 공익적인 목적의 활동”이라고 주장했다.
![]() |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28일 서울 서초구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를 마친 뒤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20205.3.28 (사진=뉴스1) |
논란에 휩싸인 유명인을 겨냥한 누리꾼들의 저격성 민원·신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개그맨 이진호의 불법도박 논란과 가수 송민호의 사회복무요원 부실 복무 의혹 등도 비슷한 경로를 거쳐 수사 대상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