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대학교가 트럼프 정부에 반기를 들었습니다. 학내 반이스라엘 움직임을 차단하라는 요구를 받자, 대학의 자율성이 더 중요하다며 대학들 중 처음으로 맞선 겁니다. 트럼프 정부는 바로 하버드대 보조금 지원을 끊었습니다.
김자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학생들이 캠퍼스에 모여 반전 구호를 외칩니다.
아스메르 사피 / 하버드대 학생
"우리는 특정한 대의를 위해 행동하고 있고, 그 대의는 바로 팔레스타인인들의 대의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이런 움직임이 유대인 차별이라며 대학들에 시정조치를 요구했는데, 하버드대학이 처음으로 반기를 들었습니다.
앨런 가버 총장은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부가 사립대학에 지시할 권한이 없다며 굴복하지 않겠단 입장을 분명히 한 겁니다.
정부가 요구한 9가지 조치는 마스크 전면 금,지 다양성 프로그램 폐지, 입학 규정 변경 등을 담고 있습니다.
앤드루 마누엘 크레스포 / 하버드대 법학 교수
"이것은 명백하고도 부정할 수 없는 미국 수정헌법 제1조(표현의 자유) 침해입니다."
미 정부는 즉각 3조 2000억 원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습니다.
대학 내 진보 색채 지우기에 나선 트럼프 정부에 하버드대가 공개적으로 저항하면서, 정부와 대학 간 갈등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트럼프 정부는 앞서 다른 대학들에도 유대인을 보호하지 않으면 처벌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한 상탭니다.
지난달 컬럼비아대는 보조금 중단 위협에 시위 통제 강화 등 정부 요구를 수용한 바 있습니다.
최근엔 시위에 참여했단 이유로 유학생 체포와 추방 시도도 잇따르면서, 한달새 비자가 취소되거나 연방정부 기록이 말소된 유학생과 학자들이 1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tv조선 김자민입니다.
김자민 기자(b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