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당진(200대), 목포(140대), 세종(70대), 여수(200대), 전주(200대), 진주(250대), 천안(500대) 등 20개 이상 지자체가 공고한 전기 승용차 보조금 접수가 조기 마감됐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출고 잔여 대수가 200대 미만이거나 절반 이하인 지자체도 70여개에 달했다.
충전 중인 전기차들. |
올해 보조금 소진 속도가 빨라진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3월 이후 본격화됐던 보조금 집행 시기가 2월로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보조금 정책 발표 지연으로 1~2월 전기차 보급이 미뤄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환경부는 올해 1월 15일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침을 발표했고, 지자체도 2월부터 보조금 신청을 받았다.
올해 1분기 전기차 보급도 급증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1분기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3만3482대로 전년 동기(2만5550) 대비 31.0% 증가했다.
전기차 보급 증가는 보조금 조기 집행과 더불어 전기차에 대한 선호도 증가,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로 소비자 선택의 폭이 확대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1분기 가장 많이 판매된 전기차는 올해부터 판매가 본격화된 기아 EV3(5065대)였다. 이어 현대차 아이오닉5(2539대), 테슬라 모델3(2453대), 테슬라 모델Y(2229대), 기아 EV6(2078대)가 순으로 나타났다.
충전 중인 전기차들. |
전기차 업계에선 보조금 조기 집행을 환영하면서도 수요와 공급 엇박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보급 목표 대수를 수요보다 높여 설정한 일부 지자체는 보조금 소진율이 절반에 못 미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전기차 업계 관계자는 “올해 환경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예년보다 한 달 이상 빨리 책정한 것은 전기차 보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도 “지자체에 따라 보조금 지급 액수와 대수 등 규모에 대한 편차가 커 일부 지역 고객의 불만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다 원활한 전기차 보급을 위해서는 지역별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적 보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