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 서울 여의도 대선캠프 사무실에서 경선룰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전 당원 투표와 중앙위원회 투표를 거친 뒤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으로 확정했다. 이러한 가운데 비명(비 이재명)계 후보들이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서울 여의도 '유쾌한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제가 무너진 점에 대해서 대단히 안타깝다”면서도 “당원 여러분께서 결정한 만큼 정해진 룰을 수용하겠다. 뜨겁게 경쟁하고 나중에 함께 통 크게 단합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솔선수범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전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 당원 투표를 진행 중이던 당원들을 향해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여론조사) 50%' 경선안을 부결하고 선거인단 모집을 기초로 한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을 채택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지사는 “국민의 수준이 특정 종교 단체나 역선택 우려 등으로 인해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당원 여러분께서 결정하신 일이다. 모든 것을 뒤로 하고 따르고 수용한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했다.
또 “비전과 정책으로 정정당당하고 뜨겁게 경쟁하고 결과에 대해선 통 크게 단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민주당의 승리라고 생각한다”면서 “첫 번째는 반드시 정권교체이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정권 교체 이상의 교체를 해야 한다는 목표를 위해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두관 후보는 달랐다. 김 후보는 경선 참여 거부를 선언했다. 김 후보는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 경선 참여를 거부한다.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며 “그리 길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또 다른 비명계 후보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일찌감치 경선룰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자신의 캠프에서 열린 대통령실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에 “당에서 논의하고 후보 의견 수렴해서 정해진 경선룰은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고 언급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