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신안산선 붕괴 실종자 나흘째 수색에도 무소식

0
댓글0
위험요소 많아 터널 하부 진입 애로
전철 신안산선 광명 구간 지하 터널 붕괴 사고로 실종된 근로자 수색이 난항을 겪고 있다. 소방 당국이 사고 나흘째를 맞은 14일 밤샘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아직 실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지난 11일 붕괴사고가 발생한 전철 신안산선 광명 구간 공사 현장에서 14일 119 구급대원과 경찰 등이 실종자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윤동주 기자


14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지난 밤사이 실종자 구조를 위한 경사면을 확보하기 위해 굴착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제거 및 굴착 작업을 실시했다. 붕괴 현장에 걸쳐져 있는 굴착기와 컨테이너 등의 고정과 우천에 대비한 토사 유출 방지 작업도 마무리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새벽 비가 내리자 오전 3시 37분 사고 방지 차원에서 전체 작업을 일시 중지했다가 기상 상황이 점차 나아지자 3시간여 만인 오전 6시 30분께 작업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실종자는 지하 35~40m 지점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구조대원들의 지하터널 하부 진입은 아직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사고 현장에 위험 요소가 많아 대원들의 안전을 완전히 확보하기 전까지는 내부 투입이 어렵다는 게 소방당국의 설명이다. 당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유관기관 회의를 열어 향후 수색 작업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사고는 11일 오후 3시 13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사고로 근로자 1명이 고립되고 1명이 실종됐으며, 실종된 굴착기 기사는 1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하지만 실종된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근로자는 아직 찾지 못한 상태다.

소방당국은 12일 오후 3시께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보고 지하터널의 하부를 수색하던 구조대원들을 철수시켰다. 하루 만인 13일 오후 2시 10분부터 수색 작업을 재개했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미군기지 인근 전투기 찍다 조사받은 중국인들…이틀 뒤 또 촬영
  • 매일경제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 기소…이상직 전 의원도 불구속 기소
  • 노컷뉴스[단독]'부당이득 660억원'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김건희 빼고' 검찰로
  • 한겨레[속보] 김문수 벌금형 확정…‘코로나 때 전광훈 교회 예배’
  • 아주경제검찰, '사위 특혜 채용 의혹'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불구속 기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