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 “핵무기 손 떼야” 이란 “제재 해제해야”…10년 만의 핵 협상

0
댓글0
미, 결렬시 군사행동 가능성 시사…이란, 간접 협상 방식 고수
헤럴드경제

이란 테헤란에 옛 미국 대사관에 반미 벽화가 그려져 있다. [EPA]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10년 만에 고위급 핵 협상을 재개한 미국과 이란이 두 번째 접촉을 앞두고 방식과 의제 등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에 들어갔다. 미국은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군사 행동에 나설 수도 있다고 압박에 나섰고, 이란은 협상이 핵 프로그램과 제재 해제 교환이라는 의제에 국한돼야 한다며 방식 역시 간접 대화를 고수했다.

13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이날 CBS 방송 인터뷰에서 미군이 “더 크고 깊은 움직임”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전날 진행된 양측의 첫 고위급 회담에 대해 “생산적이었다”고 평하면서도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서 손을 떼도록 하는 목표를 외교적 방식으로 달성하지 못하면 군사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재차 강조하지만 그렇게 하기를 원치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이란이 핵무기를 수중에 넣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면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란과의 핵 협상이 결렬된다면 이스라엘과 공동으로 군사 행동에 나설 수 있다며 ‘폭격’ 가능성까지 언급한 바 있다.

같은 날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국영 TV와 인터뷰에서 다음 협상이 핵 문제와 제재 해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며 “미국 측과 다른 어떤 다른 의제에 관해서도 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저항의 축’ 군사 지원과 관련해 문제 삼을 수 있는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국방 역량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바가이 대변인은 2차 협상 방식을 두고도 “계속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며, 오만이 중재자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란 국영 IRNA 통신은 다음 협상이 19일 유럽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담당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 이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이 이끄는 양국 대표단은 12일 중재국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약 2시간 동안 핵 협상을 벌였다.

협상은 미국과 이란이 각각 별도 공간에 머물면서 오만 당국자가 양측을 오가며 메시지를 전하는 간접 대화로 진행되다가 말미에 위트코프 특사와 아락치 장관이 몇 분간 직접 대면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양국의 고위급 핵 협상은 2015년 이란과 서방의 핵 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타결 이후 약 10년 만이다.

이 합의로 2000년대 초반부터 불거진 이란 핵 문제가 해결되는 듯했으나,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에 이란은 2019년부터 핵 프로그램을 재가동했고 2021년부터 우라늄 농축도를 준무기급인 60%까지 높이고 비축량도 늘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헤럴드경제“낙태 안하면 자살하겠다”…신분 속이고 여대생 10명과 교제한 교수에 ‘발칵’
  • 아시아경제'中 관세 인하' 언급 트럼프 "2~3주 안에 결정"…미·중 무역협상 돌파구 찾나(종합)
  • 조선일보“부녀 연기한 뒤 연인으로”…日 뒤흔든 톱배우 불륜설
  • 뉴스1'문잠겨 사망 논란' 화재사고 후…샤오미 전기 SUV 출시 지연
  • 한겨레“반유대는 핑계, 백인우월주의 심화…미국 사회의 지속가능성 의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