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 이용 중
신용점수 개선∙대출이자 감소∙절세 등
금융 전반적인 실질적인 혜택 제공
카카오페이가 국내 최초로 마이데이터 가입자 2000만 명을 돌파했다. [카카오페이] |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카카오페이가 국내 최초로 마이데이터 가입자 2000만명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대한민국 생산가능인구에서 만 19세~64세의 5명 중 3명 정도가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셈이다.
대표적으로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통해 최근 2년 간(2023~2024) 약 210만 명의 신용점수를 평균 21점 상승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전통 신용평가에는 포함되지 않는 업계 최대 규모의 선불충전금 카카오페이머니 등 카카오페이 서비스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안신용평가모델도 개발 중이다.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지난 2년간 약 2만명의 사용자가 총 1조1340억원 규모의 대출 금리를 평균 1.52%포인트 낮춘 것으로 집계됐다. 사용자별 연간 평균 90만원, 연간 총 172억원의 이자를 절감한 규모다.
이와 함께,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매년 50만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예상 환급액 및 납부액을 계산해 주고, 부족한 내용 안내와 최대 공제 한도를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절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를 통해 금융 사기 예방 기능까지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안전한 금융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와 금융사기 방지 소셜벤처인 ‘더치트’ API를 연결해 사용자에게 ‘계좌지킴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약 1억2000만개의 계좌가 이 서비스에 연동되어 대포통장 등 사기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를 분석의 영역에 그치지 않고 고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이겠다는 방침이다. 매달 쓰는 생활비, 함께 모으는 저축, 같이 갚아나가는 대출 등 공동 자산을 관리하고 있는 부부∙가족을 위한 ‘함께하는 자산관리’도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마이데이터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금융 서비스도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페이는 최근 10년 간의 금융지표 및 경제 트렌드와 사용자의 방대한 마이데이터를 트랜잭션 단위로 분석하고 있다. 나만을 위한 1:1 맞춤 자산 관리 조언이 가능한 초개인화 서비스 모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 분석, 미래 활동 예측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넘어, 데이터를 활용한 대안신용평가 고도화 등 포용 금융 확산에 기여하는 금융 플랫폼이 되겠다”고 밝혔다.